•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러시아어 수동태에 대한 유형론적 고찰 (A Typological Study on Passive Voice in Russian Languag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1.12
34P 미리보기
러시아어 수동태에 대한 유형론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동부유럽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유럽발칸학 / 13권 / 2호 / 47 ~ 80페이지
    · 저자명 : 허성태

    초록

    이 논문은 개별언어인 러시아어의 수동태를 언어유형론의 입장에서 다룬 것이다. 보통 행위자가 주어로 오는 능동태에 대해 수동태란 행위의 대상이 주어가 되는 태(voice)를 말한다. 즉 행위의 영향을 받는(affected) 대상이 주어가 되는 경우이다. 인도-유럽어의 경우 역사적으로 보면 능동태/중간태(active/middle)가 기본태(basic voice)이며 수동태는 파생태(derived voice)이다. 러시아어도 영어처럼 타동사(transitive verb)가 술어의 기능을 하는 능동문(Active)에서 타동사의 주어는 ‘행위주’로서 주격(nom.)을 취하고, 타동사의 보어는 ‘행위주의 행위가 미치는 대상’으로서 대격(acc.)을 취한다. 러시아어 수동문 또한 형태ㆍ통사적인 측면에서 능동문과 구분된다: 첫째, 어순이 다르다. 능동문의 어순은 “행위주+동사+행위의 대상”이고, 대응하는 수동문의 어순은 “행위의 대상+동사+행위주”이다. 둘째, 격표지가 다르다. 능동문의 경우 주어는 술어에 의해 표현되는 행위를 유발하는 ‘행위주’로서 주격(nom.)을, 술어의 보어는 ‘행위주의 행위가 미치는 대상’으로서 대격(acc.)을 취한다. 그러나 대응하는 수동문의 주어는 ‘행위의 영향을 받는 대상’으로서 주격(nom.)으로, 보어는 ‘행위주’로서 (전치사 없이) 조격(instr.)으로 나타난다. 술사의 형태가 다르다. 능동문(Active)의 술어는 타동사(transitive verb)이고, 수동문(Passive)의 술어는 대응하는 긍정문의 술어가; imperfective verb이면 “imperfective verb+СЯ(particle)”로 표현되고, perfective verb이면 이 동사에서 파생한 “피동 형동사 단형(수동 분사 단형 short-form participle passive)”으로 표현된다.
    상술한 수동태의 정의와 특징은 일반적인 인칭수동태(personal passive)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인칭수동태(personal passive)외에도 수동태와 관련해서 비인칭수동태(impersonal passive), 중간태(middle voice), 반수동태(antipassive), 수동태의 기원 등과 같은 하위 문법범주들이 관찰된다. 수동의 표현 형식과 관련하여 합성적(비우언적) 수동형이 동사 안에서 문법형태소의 합성 및 결합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면, 우언적(periphrastic) 수동형이란 두 개 이상의 단어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수동형을 말한다. 이를 합성적(synthetic)이라는 용어에 대응해서 분석적(analytic) 수동태라고 부르기도 한다. 우언적 수동형은 보조동사에 본동사를 결합한 것이 기본구조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deals with the passive voice of Russian language as individual language from the viewpoint of linguistic typology. Contrary to active voice where an actor is the subject of a sentence, passive voice refers to a voice where a patient is the subject of a sentence. In other words, it refers to a voice where a patient affected by an action becomes the subject of a sentence.
    In the whole history of Indo-European Languages, active voice/middle voice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basic voice, while passive voice has been used as derived voice. Like English, Russian is also characterized by a grammatical rule under which the subject of transitive verb takes nominative case as ‘actor’ in an active sentence where a transitive verb works as predicate, but a complement of transitive verb takes accusative case as ‘the patient affected by any action of an actor.’In Russian, passive sentence is also distinguished from active one in the aspect of morphology and syntax: First, the word order of active sentence is different from that of passive one. The word order of active sentence is arranged like “actor + verb + patient”, while the word order of passive sentence is arranged like “patient + verb + actor.” Secondly, the case marker of active sentence is different from that of passive one. In case of Russian active sentence, the subject takes nominative case as ‘actor’ who induces any action expressed by predicate, while the complement of predicate takes accusative case as ‘patient affected by any action of actor.’ However, the subject of corresponding passive sentence appears in nominative case as ‘a patient affected by any action’ and the complement of corresponding passive sentence appears in instrumental case (without any preposition) as ‘actor.’ Thirdly, predicate of active sentence is different from that of passive one. The predicate of active sentence takes a form of transitive verb, whereas that of passive sentence is expressed in form of “imperfective verb + СЯ(particle)” when the predicate of corresponding positive sentence is imperfective verb, and it is expressed in form of “short-form participle passive” derived from a perfective verb when the predicate of corresponding positive sentence is the perfective verb. The above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passive voice refer to general personal passive voice.
    However, there are also subordinate grammatical categories (e.g. origin of impersonal passive voice, middle voice, anti-passive voice and passive voice) observed in terms of passive voice, apart from personal passive voice. In terms of passive expression forms, synthetic (non-periphrastic) passive form means a combination and mixture of grammatical morphemes within a verb, while periphrastic passive form refers to a passive form generated by a combination of 2 or more words. In comparison with a term ‘synthetic’, this is called ‘analytic passive voice.’ Basically, periphrastic passive form is structurally made of an auxiliary verb combined with a main verb.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유럽발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