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 王京의 地理學的 理解를 위한 基本 槪念의 檢討 -도시형태론과 도시체계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Examing Basic Concepts for the Geographical Understanding of Royal Capitals in Silla - Focusing on the Approach of Urban Form Theory and Urban System Theor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6.10
38P 미리보기
新羅 王京의 地理學的 理解를 위한 基本 槪念의 檢討 -도시형태론과 도시체계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담론 / 80호 / 193 ~ 230페이지
    · 저자명 : 양정석

    초록

    본고는 신라 왕경에 대한 도시지리학적 접근이라는 관점을 통해 기존의 연구 성과를 재정리하고 이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방법론적 試論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 통일신라의 왕경에 대한 연구는 왕경의 형태와 규모 등에 대해서는 명확한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이는 기존의 연구가 왕경의 구조를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이해하는 견해와 특정시기의 도시계획을 중심으로 이해하는 견해로 나뉘어 각자의 왕경 인식을 바탕으로 진행되고 있는 단계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도시형태론적 입장에서 이 문제를 검토해 보았다. 즉 신라는 삼국의 통일로 인해 신라 왕경으로 인구유입이 급격히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문무왕대 이후 2단계 도시계획에 의해 이루어진 왕경의 정비는 이러한 상황에 대응할 정도의 규모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왕경의 외곽이 명확하게 설정되기도 전에 이미 왕경은 주변으로 확대되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이는 계획된 도시구조와는 달리 보다 확대된 도시의 외형을 갖게 되는 과소경계도시로 이해할 수 있다. 왕경에 대한 도시계획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왕경의 외곽경계가 이렇게 무너진 근본적인 원인을 신라 왕경이 외성이 존재하지 않는 무성곽형 도성이라는데 있다. 이러한 형태적 특징은 일본의 후지와라경에서도 확인되는데, 이는 신라 도성제의 영향이라는 측면에서 살펴 볼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당시 거의 같은 시기에 조성된 9주 5소경의 주치의 구조와 규모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통해 이들 지방도시가 당시의 왕경의 구조와 규모를 기준으로 하여 조영되었을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지리학계에서 도시체계론 도입에 주저하였던 통일신라시기에 이미 왕경을 중심으로 한 도시체계가 성립하였음을 의미한다. 즉 이들 도시들이 모두 가로구획으로 이루어진 계획도시라는 점은 역으로 통일신라시기에 왕경 중심의 계획도시체계가 완성되었음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rrange the results of preceding studies in terms of urban geographical approach to royal capitals in Silla, and so understand such results reasonably as a methodological preliminary study. Previous reseach on royal capitals in United Silla have not agreed clearly about the forms and scales of royal capitals. The reason is that preceding studies were divided into the perspective focusing on changing processes and the perspective focusing urban plans in a particular period in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royal capitals.
    This study examined this research question in terms of urban forms. That is, although the influx of the population into the Silla royal capital increased rapidly owing to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the scale of royal capital arrangement by the second urban plan after Munmu[文武] dynasty could not correspond to this situaton. Before the outskirts of the royal capital was clearly set up, the royal capital had already extended into its surrounding. This situation can be regarded as an under-bounded city which was extended more than its planed urban structure. The outskit boundary of the royal capital collapsed despite the establishment of urban plan in the royal capital because the Silla royal capital was not a walled capital city but a non-fortress type capital city without its outer castle wall. Thi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is confirmed in Hujiwara Capital in Japan, which can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element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Silla capital city system.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preceding studies on the structure and scale of provincial government in 9 Ju[州] and 5 Sogyeong[小京] formed in similar times, it is likely that these local cities wer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struture and scale of the royal capital in those days. This implies that urban systems had been already established around the royal capital in Unified Silla period, even though the existing academic circle of geography hesitated to introduce urban system theory. That is, considering that all these cities were planed cities composed of street blocks, it conversely implies that planed urban systems were completed around the royal capital in Unified Silla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