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최초 장로교 여목사 최덕지의 해방 직후 교회재건 운동에 나타난 교회론 연구: 도나투스파 교회론에 비추어 (Deokji Choi’s Ecclesiology in the Church Reconstruction Movement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In Light of Donatist Ecclesiolog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7.12
40P 미리보기
한국 최초 장로교 여목사 최덕지의 해방 직후 교회재건 운동에 나타난 교회론 연구: 도나투스파 교회론에 비추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회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회사학회지 / 48호 / 171 ~ 210페이지
    · 저자명 : 손은실

    초록

    이 글은 한국 장로교 여성 가운데 최초로 목사안수를 받은 최덕지 (1901-1956)가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굴복하여 무너진 한국교회를 회복하기 위해 해방 직후에 전개한 교회재건 운동을 살펴보고, 그의 교회론에 대한 신학적 해석을 시도한다. 그의 교회론에 대한 교회사가들의 평가는 지금까지 대체로 매우 부정적이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그의 교회론을 ‘극단적 분리주의’ 혹은 ‘극단적 분파주의’ 혹은 ‘도나투스주의’라고 평가한다. 하지만 이들의 평가는 최덕지의 재건운동에 대한 자세한 분석과 교회론에 대한 깊은 신학적 해석에 기초한 것이 아니다. 본고는 이런 연구의 공백을 메꾸기 위한 하나의 시도이다. 최덕지의 교회론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그의 교회재건 운동을 해방 직후의 구체적인 역사적 상황에 위치시키고 ‘도나투스파 교회론’을 해석학적 도구로 사용하여 그의 설교를 분석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최덕지의 교회론을 ‘극단적 분리주의, 혹은 분파주의’ 혹은 ‘도나투스주의’라고 단순하게 말하기는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하지만 동시에 그의 재건운동과 재건교회 설립은 그가 의도하지 않았던 교회의 분열을 낳았고, 그의 교회론에 도나투스주의와 매우 유사한 성격-장점과 한계 두 측면 모두에 있어서-이 많은 것도 부인할 수 없음을 확인했다. 전체적으로 보자면 최덕지의 교회재건 운동은 교회의 거룩성 회복을 위해서는 큰 공헌을 하으나, 교회의 일치 유지를 위한 노력은 부족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당시 역사적 상황에서 교회의 거룩성 회복이야말로 보다 중요한 시대적 과제던 점을 감안하면, 그의 공헌이 한계보다 훨씬 높이 평가되어야 한다. 최덕지의 교회론이 지금 주님의 몸을 수없이 많은 조각으로 찢어놓고 만신창이로 만든 한국교회에 주는 교훈은 실로 무겁다. 참된 교회의 회복을 위해서는 ‘일치를 해치지 않는 거룩성’과 ‘거룩성을 해치지 않는 일치’ 를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연구가 최덕지의 교회재건 운동에 대한 재평가를 위해 그리고 오늘 한국교회의 분열된 현실의 뿌리 이해와 일치의 길 모색 그리고 더 나아가 통일 이후 북한교회가 직면하게 될 해방직후와 유사한 배교자 치리 문제를 예견하고 미리 준비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looks into the Church Reconstruction Movement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that was lead by Rev. Deokji Choi (1901-1956), the first woman ordained by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to recover the Church, which had collapsed by the shrine worship forced by the Japanese Empire. It endeavors to propose a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her ecclesiology. Our first question is, “Is Choi’s ecclesiology in the Movement ‘extreme secessionism’, ‘extreme sectarianism’ or ‘Donatism’, as church historians generally define it? To answer this question, we situate Choi’s Reconstruction Movement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post-liberation period, and analyze her sermons using ‘Donatist ecclesiology’ as an hermeneutical tool. As a result,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hard to consider her ecclesiology simply as ‘extreme secessionism’, ‘extreme sectarianism’ or ‘Donatism’. At the same time, however, it cannot be denied that her Reconstruction Movement and building of Reconstruction Church engendered the division of the Church, which she had never intended, and that her ecclesiology shares a lot with that of Donatists. Overall, we can state that Choi’s Reconstruction Movement contributed much to the restoration of the sanctity of the Church, but lacked the effort to maintain its unity. The limitations of Choi’s ecclesiology offer significant lessons to the Korean Church, which has severely torn apart the Body of Our Lord: The road to true restoration of church requires sanctity that does not hamper unity as well as unity that does not hamper sanctity.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reevaluating Deokji Choi’s Church Reconstruction Movement, understanding the roots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Church, and seeking out the way to unity. Furthermore, it will help foresee and prepare for the problem of the treatment of apostates that the North Korean Churches will have to face in the coming post-reunificatio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