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정옥의 국문학 갈래 인식과 민요론 (Ko Jeong-Ok's Cognition on Korean Literature Genres and Theory of Korean Folksong)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9.11
28P 미리보기
고정옥의 국문학 갈래 인식과 민요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술 / 3호 / 73 ~ 100페이지
    · 저자명 : 김용찬

    초록

    고정옥은 경성제대에서 조선문학을 전공했으며, 민요를 주제로 한 졸업논문을 제출했다. 그는 해방이 되면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의 교수가 되었고, 민요와 고전시가를 중심으로 국문학 전반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발표하였다.
    국문학 갈래들의 상호 관계를 고려하여 정리한 그의 가설은 문학사의 흐름을일목요연하게 보여주고 있다. 반면에 진화론적 인식에 기반한 이론적 체계는문학사를 ‘발전’의 측면에서 바라본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되기도 한다.
    그는 ‘우리어문학회’를 조직하여 활동하였는데, 당시 학회 구성원들은 대학에서의 교육과 국문학의 체계를 세우기 위한 연구를 시급한 과제로 여겼다.
    그들은 활발한 연구 활동을 전개하여, 집필에 공동으로 참여하여 『국문학사』 를 비롯한 연구 성과들을 출간하기도 했다. 또한 학회에서 발간한 학술지를통해서 다양한 논문들과 국문학 자료들을 발표하였다. 한국전쟁으로 구성원들의 진로가 남과 북으로 갈리면서 학회는 지속될 수 없었지만, 그들은 짧은 활동 기간에도 불구하고 의미 있는 연구 성과들을 남겼다. 이 당시 고정옥의연구 활동은 우리어문학회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고정옥의 연구에 대한 평가는 민요 분야에 집중되어 있으며, 국문학 전반에걸친 그의 업적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하게 다뤄지지 못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국문학의 전 영역에 걸쳐 논의를 전개했던 고정옥의 연구 성과들을 검토하고, 그 의미를 따져 보았다. 이를 통해 문학사의 가설을 세우고, 국문학전반에 대한 이론화를 시도했던 그의 연구자로서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민요를 비롯한 구비문학을 문학사의 흐름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했던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정옥의 연구들을 다룬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여, 한국전쟁 이전에 제출된연구 성과들을 중심으로 국문학을 어떻게 분류하고 있는지 검토했다. 이를통해 그가 문학사를 어떻게 인식하고, 각 갈래들의 존재 양상과 상호 연관관계를 인식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의 학문적 출발점이라고할 수 있는 민요에 대한 인식과 그 의미를 따져 보았다.

    영어초록

    Ko Jeong-Ok majored Chosun literature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with a dissertation on Korean folksongs. After liberation of Korea, he became a professor of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published papers on Korean literature, focusing on Korean folksongs and classical poetry. His hypothesis, which was organized taking into account the mutual relations among the genres of Korea literature, demonstrates the stream of literature history manifestly. On the other hand, his theory based on the evolutionary perception has been criticized for looking at the literature history from a viewpoint of ‘advancement’. He organized ‘Urieomunhakoe ’(Association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 members of which considered the studies for setting up the system of university education and Korean literature urgent. They carried out studies actively, publishing research outcomes, such as <Korean Literature History>. They also published a variety of papers and documents on Korean literature in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Although the association could not be continued long owing to the Korean War that separated the members into South and North, they left significant research outcomes during a short working period. The research activity of Ko Jeong-Ok during the period is closely related to Urieomunhakoe.
    The assessment of the research of Ko Jeong-Ok has been focused on Korean folksongs, whereas his achievements across the Korean literature has not been evaluated sufficiently. Therefore, in this article Ko Jeong-Ok’s research outcomes across the whole range of Korean literature is reviewed and evaluated in order to cast light upon his feature as a researcher who set up a hypothesis of literature history and tried theoriz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his understanding of oral literature including folksongs a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stream of literature history.
    Consulting previous studies on Ko Jeong-Ok’s research, his methodology of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literature is reviewed focusing on his publications before the Korean War. This study shows how he cognized literature history as well as the existence pattern and interaction of each genre. His cognition on folksongs, which is regarded as the starting point of his academic career, is also asse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