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자 양생론의 관점에서 본 건강과 생명 (Health and Life on the View Point of Zhuangzi’s Well-be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3.09
24P 미리보기
장자 양생론의 관점에서 본 건강과 생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109호 / 43 ~ 66페이지
    · 저자명 : 정세근, 김정내

    초록

    이 글은 『장자』, 「양생주」 편이 보이는 건강과 생명의 문제를 다룬다. 서양 과학의 시점에서 건강은 상당히 육체적인 면에 치중되지만 동양 철학적 사유에서는 정신이 부각된 양면적 접근을 추구한다. 현대인의 건강은 심리적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적 압박도 육체적 활동으로 푼다. 그런데 건강은 정의상 정신과 육체의 건전함을 모두 포함한다.
    동양 철학은 건강의 문제를 양생이라는 독보적인 개념으로 다루어왔다. 양생은 건강과 닮았으면서도 다른 사유를 담는다. 동양에서 양생은 과학적 문제라기보다는 철학적 주제라는 점에서 양자가 비견된다.
    「양생주」는 서론에서 우리의 삶은 유한하고 우리의 앎은 무한하니 유한으로 무한을 꾀하다가는 위태로워진다고 말한다. 유한성을 깨달으라는 것이다. 그런데 결론에서는 이와는 달리 너는 타서 없어질지라도 이어지는 장작처럼 새로운 이가 나타나서 그 정신이나 생명을 이을 수 있다고 한다. 자식을 통해 생명줄이 이어지듯, 내가 구현해놓은 정신줄도 문화의 형태로 이어진다.
    생명을 기르는 방법의 마지막에 장자는 이렇게 문화의 전승, 지혜의 계승, 깨달음의 이어짐을 제시한다. 순서에 따라 죽음을 맞이하라는 것은 허무나 회의에 빠지라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죽음 앞에서 다음으로 이어질 것을 생각해야 한다. 불이 이어지듯 유한이 거듭되면 불은 끝나지 않는다. ‘유한의 무한’으로 무한성을 얻는다.
    장자가 정신론자임은 곳곳에서 드러난다. 양생은 양형(養形)이 아니라 양신(養神)이다. 장자가 정신을 강조한 것은 도가적인 개인의 존중과 자유의 숭상에 바탕을 둔다. 건강하게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다름 아닌 정신이며, 그 정신의 줄기찬 활동과 알맞은 휴식이 우리의 생명을 건강하게 만든다. 이것이 양신에 기초하는 장자의 양생론이다.
    한마디로 노자가 보여준 무욕론의 연장선상에 다시금 허무와 염담을 외치는 장자가 서 있다. 양생의 도(道)는 포정의 비유처럼 매우 기술적(기技)이지만 마찬가지로 매우 정신적(신神)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treats health and life in the Zhuangzi’s chapter on ‘Well-being’. According to Western science, health belongs to physical problem; according to Eastern way of philosophical thinking, it comparatively includes spiritual matter. Many of present people get rid of mental stress through physical activity although Healthy living is defined with soundness of both spirit and body.
    Eastern philosophy has exclusively handled subject of health as well-being(or raising life). Even though well-being resembles to conception of heath, it includes different way of thinking. In the Eastern civilization, well-being is not a scientific subject but a philosophical theme.
    In the beginning of the chapter of Well-being, it proclaims that our life is limited while our knowledge is not limited. It is dangerous that the limited desires to control the unlimited. In the last of the chapter, however, if the other hands were waiting, the fire would be continued after the individual firewood was extinguished. Your spirit could be succeeded in your culture and civilization such as sequence of biological lives.
    Zhuangzi indicates an inheritance of tradition, an accession of culture, succession of wisdom, and maintenance of awakening as a way of raising life at the end of chapter. We are supposed to get the limitlessness through many of the limited.
    It is clear Zhuangzi is a mentalist against longevity. He want to care spirit of human being instead of external corpus, which is based on Taoist individualism and liberalism. The Tao of well-being is not only technical(ji技) but also spiritual(shen神) such as the example of butcher’s kn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