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랑을 통한 해방 -백낙청의 <시민문학론> 연구- (Liberation through Lov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0.12
22P 미리보기
사랑을 통한 해방 -백낙청의 <시민문학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어문화 / 73호 / 383 ~ 404페이지
    · 저자명 : 전철희

    초록

    본고의 목적은, 백낙청의 <시민문학론>이 억압적 사회로부터 ‘해방’될 방법을 모색한 글이었음을 밝히는 것이다. 이 글은 ‘진보적’이고 ‘자율적’인 사유조차도 체제수호를 위한 이데올로기로 전락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이념적 고착상태를 벗어나려면 ‘사랑’이 필요하다는 요구를 제시한다. 이때의 ‘사랑’이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무엇인가를 열렬하게 추구함으로써 기존의 사회질서를 거부하고 새로운 ‘나’로 거듭나겠다는 결의를 뜻했다. 인간은 사회의 이데올로기로부터 벗어날 수 없지만 문학은 개별 주체가 ‘사랑’을 통해 사회에서 벗어나려 노력하는 모습을 포착하고 형상화할 수 있다는 것이 <시민문학론>의 핵심논지였다. 이 글은 소시민문학론을 겨냥한 비판으로 제출됐다. 당시의 소시민문학론자들은, 1960년대의 한국 상황이 소시민을 양성했다는 전제 아래 소시민의 사유와 감정을 핍진하게 모사한 작품을 상찬했다. 백낙청은 이들의 평가를 일정 부분 수용하면서도 문학이 개인과 사회의 모습을 투명하게 재현했다는 단선적 설명에는 동의하지 않았다. 사회적 환경이 개별 인간의 사유와 행동의 범위를 한정 짓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인간이 사회가 정해놓은 대로만 살아가는 수동적 존재인 것은 아니다. 1960년대의 한국 상황이 소시민을 양산했을지언정 이 시대의 작가와 지식인들이 소시민적인 삶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진 않았다. 김승옥과 최인훈 등이 뛰어난 작가인 것은, 당시의 시대상을 핍진하게 모사했기 때문만이 아니라, 소시민화된 사람들의 무의식에 남아있는 죄책감과 불안감까지도 문학적으로 형상화했기 때문이다. 이런 평가들을 통해 백낙청은, 인간이 억압적 사회에 동일화될 때 남는 양가적 감정 중 일부분(죄의식과 이물감)이 곧 ‘시민의식’이며, 그런 시민의식을 포착하는 것이 문학의 주요한 역할이라고 주장할 수 있었다. 이 논지는 이데올로기의 양가적 성격에 대한 통찰을 포함했다는 점에서 선구적이었다. 세계적으로 볼 때 1960년대는 사회적 담론(이데올로기)이 억압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개인이 사회적 담론에서 ‘해방’될 수 있는지에 관한 논의가 본격화된 시기였다. 인간의 사유가 사회적 담론에 ‘예속’되어 있음을 냉정하게 인정하면서도 예술이 거기에서 해방되는 모습을 포착할 수 있다는 통찰을 담은 <시민문학론>은 그런 의미에서 ‘1960년대적’인 글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at Nakcheong Paik’s “Civil Literature Theory” was an article seeking a way to be “liberated” from a repressive society.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even “progressive” and “autonomous” thoughts can be reduced to an ideology for the protection of the system, and then proposes a demand that “love” is necessary to escape from this ideological fixation. At this time, “love” meant the attitude of rejecting the existing social order by passionately pursuing something that does not exist in reality. According to <Civil Literature Theory>, humans cannot escape from the ideology of society, but literature can capture and shape the individual subject trying to escape from society through “love”. This initiation was raised as a criticism aimed at small civic literature theory. Under the premise that the situation in Korea in the 1960s nurtured small citizens, small civic literaryists at the time praised works that pitifully copied the thoughts and emotions of small citizens. Paik Nak-cheong agreed to some of their evaluations, but did not agree with the single-line explanation that literature transparently reproduced the individual and social aspects. It is true that the social environment limits the range of thoughts and actions of individual human beings, but that does not mean that humans are passive beings who live according to society. Although the situation in Korea in the 1960s produced small citizens, writers and intellectuals of this era did not uncritically accept small-citizen life. The reason why Kim Seung-ok and Choi In-hun are outstanding writers is not because they embarrassedly mimicked the times of the time, but because they literately embody the feelings of guilt and anxiety that small citizens could not get rid of by social coercion. Through this evaluation, Paik Nak-cheong argued that the unconsciousness of human beings when they are identified with a repressive society is the sense of rejection (guilt and foreign) that is the “citizen consciousness,” and that capturing such a sense of citizenship is the main role of art. Globally, the 1960s was a time when the perception that social discourse (ideology) was repressive spread, and discussions about whether individuals could be ‘liberated’ from social discourse began in earnest. “Civil Literature Theory” was “1960s” in that it contained insight that art could capture the liberation of art while recognizing that human thought is “subordinate” to social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어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