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Polanyi 지식론이 교육과정 탐구에 주는 시사 (The Implications of Polanyi's Epistemology for Curriculum Inquir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08.06
31P 미리보기
Polanyi 지식론이 교육과정 탐구에 주는 시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글로벌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글로벌경영학회지 / 5권 / 2호 / 183 ~ 213페이지
    · 저자명 : 김재건

    초록

    본 연구는 기존의 교과서에 실려왔던 형태의 지식만이 옳은 지식이고 그와 같은 지식을 중심으로 조직, 운영되어온 교육과정이 오로지 최선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교육과정인가 하는 반성적 시각에서 출발하고 있는데, 이를 위한 실마리는 폴라니(Polanyi)의 지식론에 두고 있다.
    그에 의하면 인간의 지식이란 자연과학적 지식이라 할지라도 사전에 형식화되어 있는 규칙이나 방법을 기계적으로 적용하는 방식만으로는 생겨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앎의 과정에는 일상생활에서와 마찬가지로 언제나 개개인들의 주관적인 몰입과헌신 그리고 노력에 의하여 발견해내는 과정을 겪는 인격적 참여와 판단 등이 반드시 수반되는 것으로, 이는 다시 동료나 타인들에 의해 합의 되거나 승인되어 귀결되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그의 지식론에 의해서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에 있어서 새롭게 시사 받을 수 있는 바는 교육지식은 전통적 인식론에서와 같이 명시적으로 명쾌하게 정리되고 고정 불변하는 절대적인 것 뿐 아니라, 설사 정교하고 체계적으로 기술되지 못하는 비형식적이고 암묵적인 지식이라 할지라도 개인의 인지력의 형성과 발전 및 지식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면 이것 역시 훌륭한 교육 소재로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교수-학습과정 역시, 수업시간을 통하여 학습자가 무엇을 아는가가 그 핵심이 아니고 왜 그런 답을 생각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 답 뒤의 스스로가 경험한 사고 과정과 논리가 무엇이었는지 등의 체험적 과정이 중시되는 체험학습과 개인의 열정과 각고로 ‘발견적 앎’을 얻고 이를 타인과 함께 협의적 과정으로 ‘개인적 지식’이 ‘공동체적 지식’으로 바꾸어 간다는 협동학습을 강조한다.
    지식 형성에 있어서 주체의 능동성, 자발성을 강조하는 폴라니의 지식론은 지식이 학습자에 의해 지식이 구성된다는 구성주의와 직결된다. 구성주의는 지식이란 정형화 고정화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가 처한 자신의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배경에 입각하여 구성해 나간다는 입장이다. 이런 입장 역시 절대적인 진리를 거부하는 폴라니의 지식관과 통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starts from the reflection of the presume that the knowledge in the textbook is the only knowledge, and the curriculum dealing with this knowledge is the only rational curriculum. For this, this study is based on the Polanyi's Epistemology.
    Polanyi says that knowledge is not developed by applying existing knowledge in the technical perspective. Instead, Knowledge, in the learning process, is always formed by individual commitment and judgment including engagement, allegiance, and effort. Again this knowledge is acknowledged and emphasized by the other.
    So according to Polanyi, the following is clear. First, knowledge which is formed by one's participation, even though it is not traditional and analytical and has elements of tacit knowing, should be considered as the core of knowledge in the process of knowledge acquisition and expansion.
    Also, i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experience-based learning which covers individual logical thinking process should be recognized. Cooperative learning that transforms personal knowledge into social knowledge by the interaction with the other should be valued, too.
    Polanyi's knowledge theory is connected the constructivism respectively because Constructivism focusing on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Polanyi's knowledge focusing on relative and personal construction of knowledge, not on transmitting knowledge, have the similar implication in curriculum 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글로벌경영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