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남과 마음의 연기와 연기사회론 시론 (Buddhistic Hearts & Meeting and the Preface of Buddhistic Theory of Causalit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9.03
32P 미리보기
만남과 마음의 연기와 연기사회론 시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문사회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현상과 인식 / 43권 / 1호 / 163 ~ 194페이지
    · 저자명 : 유승무, 최우영

    초록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해 이른바 ‘구 유럽적 사유’의 지평을 넘어 궁극적으로 ‘연기적 의미론’ 내지 ‘연기사회론’의 지평을 개척하는 사유의 전복을 시도한다. 여기서 연기, 연기사회론은 이 글의 핵심에 해당하는 용어 혹은 개념으로서 상기한 대안 사유의 가능성과 전망을 압축적으로 표상하고 있다.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과연 만남과 마음의 개념적 의미는 각각 무엇인가? 그러한 개념 요소들은 이론적 층위에서 어떻게 연기사회론을 구성하는가? 그래서 만약 만남과 마음의 연기사회론이 성립한다면, 그 사회학적 함의는 무엇인가? 그리고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맑스, 루만, 타르드, 붓다의 생각을 비교하면서 논의한다.
    이 글의 이론작업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의의를 함축하고 있다. 첫째는 구유럽적 사유를 중심으로 한 서구발 근대의 폐해를 폭로하고, 그것에 대한 대안 논의로서 불교를 학문적 논의의 지평으로 불러낸 점이다. 둘째는 연기사회론은 시론적 차원에서나마 운동의 연속체로서 ‘사회적인 것’을 이론화함으로써 모든 사회연구의 기초가 되는 최소 보편 이론의 기반을 구축하였다. 우리의 관점에서 보면, 통상적인 사회이론은 연속체나 변동체인 ‘사회적인 것’을 설명과 이해의 필요라는 명분 아래 부당하게, 혹은 과도하게 고정시켜왔다. 살아 움직이는 동사의 세상을 죽은 명사의 세상으로 왜곡하여 이해했다고도 볼 수 있다. 연기사회론은 모든 것이 이어져 있는 연기의 세계와 모든 것이 유동하고 있는 운동의 세계를 생생하게 포착하게 한다. 그 강점은 맑스의 변증법, 루만의 체계이론, 타르드의 모나드론과의 비교에서 뚜렷하게 드러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try to overturn our thinking by penetrating the positions of “Buddhistic theory of causality” beyond the so-called “old European reasons.” Here, the Buddhistic theory of causality is a compressed representation of the potential and prospects for the above alternative reasons as the term or concept that corresponds to the core of this article. This article asks the following question. What are the conceptual meanings of meeting and mind? How do those concept elements form an act society on a theoretical level? So, if meeting and mind acting social theory are established, what is the sociological implications?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discuss them by comparing the ideas of Marx, Luhmann, Tarde and Buddha.
    The theoretical work of this article implies several implications: The first is to expose the evils of modern Western Europe centered on old European causes and to bring Buddhism to the ground of academic discussion as an alternative discussion. Second, Buddhistic theory of causality has been founded on the basis of the least universal theory underlying all social studies by theorizing ‘social' as a continuum of movement, although on an essay level. From our point of view, conventional social theory has been unfairly or excessively fixed on the pretext of explaining and understanding the continuum or the variable ‘social'. It can be said that he has distorted the world of a living and moving verb into a world of a dead noun. The Buddhistic theory of causality give us a vivid picture of the world of all-in-one Buddhism and the world of movement in which everything is flowing. The strength is evident in the comparison of Marx's dialectic, Luhmann's system theory, and Tarde's theory of Mona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상과 인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