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교적교회론 교육과 기독교교육적 함의: 현대사회의 변화와 위기 상황 대응을 위한 선교적교회론 (Missional Ecclesiology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Missional Ecclesiology for Response to Crisis and Changes in Modern Societ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1.06
36P 미리보기
선교적교회론 교육과 기독교교육적 함의: 현대사회의 변화와 위기 상황 대응을 위한 선교적교회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선교와신학 / 54호 / 139 ~ 174페이지
    · 저자명 : 김도일

    초록

    인류는 현재 급변하는 격동기 속에 서 있다. 이 시대를 격동기로 부를수 있는 근거는 세 가지의 커다란 변화인데, 문화적으로는 포스트모더니즘, 산업 기술적으로는 제4차 산업혁명, 자연 생태적으로는 코로나-19사태가 그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세 가지 변화가 낳은 전지구적 위기 즉, 빗장을 걸어 잠금 세계와 환경의 악화라는 위기, 사회적 약자에게 더 가혹하게 느껴질 수 있는 전지구적 위기의 시대에 각자도생하는 기독교인들에대한 담론과 종교개혁 시대 교회의 흑사병 팬데믹 대처의 교훈도 더불어살펴보았다. 이러한 위기의 상황 가운데서 극복의 대안으로써 선교적교회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선교적교회론이 태동하게 된 한국적 상황을 다루었고, 선교적교회론을 세상 속에서 펼쳐나갈 때는 필연적으로 이론과 실천의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수행해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학문과 실천이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이루어지는 실제 사역 현장의 분석도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선교적교회론 교육의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다루었다. 첫째, 선교적교회론은 성인뿐만 아니라 전 연령의 교우들에게 교육해야 하며, 이때 선교적 이중언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함을 주장하였다. 둘째, 한국사회 속 개신교 청년세대들의 현실 인식을 바로 읽어야 함을 논하였다. 셋째, 민주적 공공성을 담보하는 기독교교육을 수행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넷째, 마을 속에서 함께 경쟁하지 않고 살아가기에 대하여 다루었다. 비록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한국개신교가 테오리아와 프락시스의 균형을 다시찾고 선교적교회론을 삶의 현장 속에서 실천하여 이 세상에 하나님의 나라를 세워나가는 일에 실망하지 않고 매진한다면 역사와 민족 앞에 자랑스러운 유산을 남기게 될 것임을 소망하는 가운데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영어초록

    The world we are living indeed is in a turbulent period of rapid change. Modern mankind is standing in the midst of tremendous social change. Culturally, postmodernism, industrial and technologicall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natural ecologically, the Covid-19 Outbreak. This paper shares thoughts on the global crisis created by these three changes, that is, the crisis of deteriorating the world and the environment by locking it up, and the Christians who are closing their eyes in a pandemic that is more severe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We have also looked at the lessons of dealing with the Black Death pandemic.
    In the midst of such a crisis situation, while presenting the Missional Ecclesiology as an alternative to overcoming the crisis, this Missional Ecclesiology will help fulfill the will of God if Christians live and act in society with a missional spirit(미션얼). With hope and confidence, the study was conducted. To this end, we dealt with the Korean situation in which the missional ecclesiology was born, and when the missional ecclesiology is unfolded in the world, it was dealt with inevitably that it must be carried out in harmon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 analysis of the actual ministry field was also added. Then, the implications of Christian education in missional ecclesiology education were dealt with. First, it insisted that the missional ecclesiology should educate not only adults but also members of all ages, and at this time, it should be taught so that they can be bilingual as Walter Bruegemann asserted. Second, it was discuss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reality of young Protestant generation in Korean society should be read immediately and deeply. Third, it insisted that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to ensure democratic publicity. Fourth, it dealt with living without competing each other in the village. Although it is not easy, if Korean Protestants regain the balance between Theoria and Praxis and practice missional ecclesiology in the field of life, without being disappointed in building the kingdom of God on this earth, they will be proud in front of history and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와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