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빌렘 플루서의 이미지와 문자 코드론 (Vilém Flusser’s Image and Text Code The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0.03
34P 미리보기
빌렘 플루서의 이미지와 문자 코드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회
    · 수록지 정보 : 美學(미학) / 86권 / 1호 / 41 ~ 74페이지
    · 저자명 : 박상우

    초록

    본 연구는 플루서의 철학에서 기술이미지 이전에 탄생한 이미지(그림)와 문자를 대상으로 이 코드들의 탄생맥락, 존재론, 수용론적 의미를 밝히는데 목표를 둔다. 눈의 확장과 주체 의식의 심화로 인간은 세계를 조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자신의 행위에 지도로 삼기 위해 이미지를 발명했다. 이후 본성적으로 회의적, 함축적, 매개적인 이미지를 비평하고 설명하기 위해, 인간은 이미지의 장면을 선으로 풀어헤침으로써 문자를 발명했다. 코드의 존재론적 특성은 코드의 수용방식을 결정한다. 이미지의 장면적 특성 때문에 수용자는 이미지의 전체 메시지를 동시에 포착하지만, 세부 메시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동시성을 통시화해야 한다. 반면, 문자의 선적 특성 때문에 수용자는 문자를 먼저 통시적으로 읽고, 나중에 통시성을 동시화해야 한다. 코드에 따라 인간 의식도 달라진다. 이미지 의식이 장면적, 가역적, 마술적이라면, 문자 의식은 과정적, 비가역적, 역사적이다. 이미지를 대체하기 위해 문자가 발명되었지만, 문자는 세계를 대신해 인간 앞에 서고 자신이 세계의 역할을 한다. 이 같은 부조리를 극복하기 위해 억눌러있던 이미지가 테크놀로지와 결합하여 기술이미지라는 새로운 모습을 띠고서 귀환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birth context, ontology, and reception theory of these two codes in the images (pictures) and texts created before the technical image in the philosophy of Flusser. As human became able to overview the worl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eyes and the deepening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they invented images to guide their behavior. Since then, human invented texts by essentially releasing the scene of images into lines to criticize and explain doubtful, connotative, and mediational images. The ontological nature of the code determines how the code is received. Because of the scen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one simultaneously captures the entire message of the image, but in order to grasp the detailed message, one has to diachronize synchronicity. On the other hand, because of the text’s linear characteristics, one must read the texts diachronically and then synchronize their diachronicity later. The human consciousness also varies depending on the code. If image consciousness is scene-like, reversible and magical, textual consciousness is processual, irreversible and historical. Texts have been invented to replace images, but texts stand before humans on behalf of the world and play the role of the world themselves. To overcome this absurdity, the image that has been suppressed is combined with technology and returns with a new look called technical im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美學(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