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민속학개론 검토와 발전적 제언 (A Review on the Introduction to American Folklore and Progressive Proposal)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6.04
39P 미리보기
미국 민속학개론 검토와 발전적 제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59호 / 229 ~ 267페이지
    · 저자명 : 배영동

    초록

    미국은 이민 국가이자 다민족 국가이며 일찍이 산업화가 진행된 나라이므로, 민족의식과 전통을 중시하는 민속학이 미국에서 어떤 특성을 보일 지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미국민속학회가 1888년에 결성된 이래 여러 사람들에 의해서 민속학개론이 간행되었다. 미국 민속학개론에 대해서는 세 시기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첫째는 1960년대 전반까지의 고전적 민속학개론, 둘째는 1960년대 말부터 1980년대까지의 전환기 민속학개론, 셋째는 1990년대 이후의 최근 민속학개론이다. 고전적 민속학개론에서는 민속학은 기록되지 않은 구술전통(oral tradition)을 다루는 학문이었는데, 니그로민속․식민지민속․이주민속이 포함되었다. 전환기의 민속학개론에서 주목되는 것은 리차드 도슨(Richard M. Dorson)이 1972년에 편집한 『민속과 민중생활』이다. 이 개론에서 민속학은 비로소 민중생활(folklife)을 다루는 학문으로 그 내용적 범위가 확장되었고, 민중생활 이해를 위해서 물질문화 분야가 중요하게 추가되었다. 바레 토엘켄(Barre Toelken)이 1979년에 민속의 연행적 본질에 대한 생각에 기초하여 간행한 『민속의 역동성』은 민속 연행의 맥락적 과정을 강조한다. 1986년 엘리오트 오링(Elliott Oring)의 『민중과 민속의 장르』에서는 민속의 개념을 융통성 있게 확장하는 한편 종족민속을 중시한다. 1990년대 이후의 최근 민속학개론에서는 민중생활과 일상생활을 함께 다루고자 하며, 맥락적 접근을 중시하고 있다. 1990년 조지 쇼메이커(George H. Schoemaker) 편저 『일상생활 속의 민속의 출현』에서는 민속의 개념에는 문화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이 있다고 하면서, 여러 종족으로 나누어 민속에 접근하고 있다. 1995년에 로버트 조지스(Robert A. Georges)와 미카엘 오웬 존스(Michael Owen Jones)가 간행한 『민속학: 개론』에는 민속을 표현적 형태․과정․행위로 규정하면서, 민속을 전승적 현상 중심으로 전환하여 이해하고, 구술전통의 민속과 민중생활 연구를 아우르는 개념의 folkloristics(민속학)를 표방하였다. 잔 하롤드 브룬반드(Jan Harold Brunvand)의 『미국 민속학개론』은 미국에서 가장 널리 읽힌 민속학개론이라 하는데, 1998년 개정판은 리차드 도슨의 민속학개론 체제를 가장 많이 계승하고 있으며, 민속학의 영역을 구전민속, 관습적 민속, 물질민속 전통으로 나눈다. 이 책에서는 민속을 기록되지 않은 전통으로 규정하고 그러한 전통의 형태와 내용, 그리고 사람들 간의 소통의 태도와 방식을 중시하는 만큼 고전적 민속 개념에다가 전승현상에 대한 맥락적 접근을 추가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 민속학개론을 참조하되 아쉬운 점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향후 한국 민속학개론 집필을 위해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첫째, 전통과 생활관습 이해가 중심이 되는 개론, 둘째, 집단보다는 공동체를 다루는 개론, 셋째, 산업화 이후 민속의 지속과 변화를 다루는 개론, 넷째, 풍속을 포함하여 민중생활 전체를 다루는 개론, 다섯째, 민속분야 아카이브․박물관과 연계하여 민속학의 실용성을 넓히는 개론을 집필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s a country of immigrants and a multi racial nation that had industrialized early.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folklore which puts an emphasis on ethnic consciousness and tradition needs to be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introduction to American folklore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to be examined. First is the introduction to classical folklore until the early 1960s, the second is the introduction to transition period folklore from late 1960s to 1980s, and the third is the recent introduction to folklore after the 1990s. Folklore was a study which dealt with the unrecorded oral tradition in the introduction to classical folklore and this included Negro folklore, colonial folklore and migration folklore. In the introduction to transition period folklore, the content range of folklore was expanded into the study which dealt with folklife for the first time in the introductory book, Folklore and Folklife, which was published by Richard M. Dorson, and the field of material culture was importantly included in order to understand folklife. In the recent introduction to folklore after the 1990s, it deals with folklife and daily life folklore together and the contextual approach on transmissional cultural phenomena has been emphasized. A few proposals have been made in this study in order to write the introduction to Korean folklore in the future by referring to this introduction to American folklore and complementing its lacking points. First, the introduction centers on traditions and living habits or social custom. Second, the introduction covering community rather than a group. Third, the introduction covering the continuation and change of folklore after industrialization. Fourth, the introduction covers entire folklife including social custom. Fifth, the introduction expanding practicality of folklore by connecting archive and museum needs to be writt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