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저우쭤런(周作人)「정조론(貞操論)」에 의해 재조명된 근대 여성 담론-신청년(新靑年)을 중심으로- (Zhou Zuo-ren’s ‘On Virginity’ that amplified female discourse-focusing on “Xinqingnia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3.11
24P 미리보기
저우쭤런(周作人)「정조론(貞操論)」에 의해 재조명된 근대 여성 담론-신청년(新靑年)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55호 / 127 ~ 150페이지
    · 저자명 : 황선미

    초록

    19세기말 중국에 불어 닥친 근대화 물결은 사회 전반에 큰 변화를 요구하고 있었다. 남성에 종속적 관계였던 여성의 해방 문제도 중국 청년들을 중심으로 여성의 자각, 사회 진출, 자유 연애 등의 이슈로 사회적 담론을 형성해 갔다. 이는 오랫동안 유교적 사고방식으로 견고하게 유지된 혼인제도에 대한 회의로 이어져 가면서 중국 봉건체계를 뿌리 채 흔들었다. 중국 근대화의 상징인 『신청년(新靑年)』제4권 제5호에 게재된 저우쭤런(周作人)의 「정조론(貞操論)」은 여성 문제가 태동하여 확대 재생산 되어가는 시기에 여성 해방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고 중국내 여론을 다시 한 번 환기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근대 중국 여성해방 문제에 중요한 전환점을 제시하였다. 「정조론」은 일본의 사상가 요사노 아키코(与謝野晶子)의 「정절은 도덕 이상으로 존귀하다(貞操は道徳以上に尊貴である)」라는 글을 번역한 것으로, 『신청년』에 발표 후 루쉰(鲁迅), 후스(胡適) 등과 같은 당시 저명한 지식인들 사이에 중요한 토론 주제가 되어 오늘날 온라인 논쟁을 방불케 하는 열띤 논쟁이 벌어졌다. 본고에서는 「정조론」문제의 주요 토론장이었던 『신청년』을 중심으로 저우쭤런의 「정조론」과 이 글을 둘러싼 여성 담론을 고찰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Wave of modernization of the late 19th century in China is calling for a major makeover of the entire Chinese society. The problem of women’s freedom, who previously had a subordinate relation to men, surfaced into a social discourse, led by young Chinese men based on issues such as women’s self-awareness, advancement into the society, and free-dating. This movement is leading to skepticism about marriage which is solidly based on traditional Confucian way of thinking, causing the entire root of China’s feudal society system to shake. ‘On Virginity’ of Zhou Zuo-ren published in the fourth and the fifth issues of “Xinqingnian”, a symbol of Chinese modernization, introduc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women’s freedom, acting as an initiator to arouse the public opinion in China during the times when the women’s problems were once again on the move, re-surfacing, and expending.
    ‘On Virginity’ is a translation from an article ‘Chastity is more important than morality’ written by Japanese theorist Yosano Akiko and after it was published in the “Xinqingnian”, had became an important debate topic in that era among prominent intellectuals such as Lu Xun and Hu Shi, leading to a breakout of headted debate similar to today’s online debate. This article would like to analyze the Zhou Zuo-ren’s ‘On Virginity’ and the female discourse surrounding this article centering the “Xinqingnian”, which is the main discussion forum for the problems of ‘On Virgi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