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논단] 강한 결정론과 그 대안으로서의 합리주의적 양립론 ― 자기 진실성과 의도적 선택의 가능성 ― (Hard Determinism and Rationalist Compatibilism as an Alternative ―Self-Authenticity and the Possibility of Intentional Choice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7.01
28P 미리보기
[논단] 강한 결정론과 그 대안으로서의 합리주의적 양립론 ― 자기 진실성과 의도적 선택의 가능성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간연구 / 33호 / 143 ~ 170페이지
    · 저자명 : 김남호

    초록

    언젠가부터 한국 청년세대는 심각한 비관주의를 앓고 있다. 심각한 취업난, 경제적 어려움, 빈부격차에 의한 사회적 차별, 부정부패, 공직자들의 도덕적 해이 등이 그 원인들로 지목되고 있다. 즉, 청년세대가 앓고 있는 비관주의는 다양한 원인들이 맞물려 빚어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관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 제도적인 보완이 중요하고 시급하더라도, 우리 사회가 최소한 자기 진실성(authenticity)이라는 덕목을 잃어 버려서는 안 될 것이다. 선한 삶을 살으라고 말하는 내면의 목소리와의 진지한 접촉이 권장되지 않거나 애초부터 불가능한 것으로 밝혀진다면, 더 나은 사회를 향한 열망을 꿈꿀 수 없게 될 것이며, 이런 상황이야 말로 진정한 비극일 것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현대 자유의지 논쟁에서 신경과학의 발전에 힘입어 목소리를 높여 가고 있는 강한 결정론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그 대안으로써 합리주의적 양립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강한 결정론은 그 어떤 자유로운 행위의 가능성도 부정한다. 만일, 강한 결정론이 옳다면, 자기 내면과의 접촉이라는 경험은 순전히 두뇌 현상에 불과하게 되며, 테일러(C. Taylor)가 말하는 자아의 자기 결정능력은 무의식적으로 발생하는 신경 화학적 과정의 결과물에 불과하게 될 것이다. 즉, 강한 결정론이 옳다면, 자기 진실성이란 덕목은 빛 좋은 개살구에 불과하게 되고, 의지적 자유란 실현될 수 없는 허구로 전락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강한 결정론의 후험적 논변(aposteriori argument)과 선험적 논변(aporiori argument)이 비판적으로 검토되며, 그 대안으로 합리주의적 양립론(Rationalist Compatibilism)이 제시될 것이다.

    영어초록

    At some point, the younger Korean generation has become seriously pessimistic. This pessimism is due to various causes; the most commonly cited ones include severe unemployment, economic difficulties, social discrimination resulting from a hug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corruption, and moral laxity by public officials. Systematic supplementation is required to overcome such pessimism, and even though it appears to be an urgent situation, at least society can still fall back on the virtue of self-authenticity. If we did not have access to our inner voices telling us how to live a good life, it would be impossible change our society for the better. And this would be a true tragedy.
    This aim of this thesis is to critically evaluate the hard determinism that is rising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neuroscience at the debate of modern free will and to propose rational determinism as a solution. Hard determinism denies any possibility of free behavior. With hard determinism, the ability to access the inner-self becomes only a phenomenon within the brain, and the self-determination ability of the ego, as described by C. Taylor, becomes the outcome of an unconscious neurochemical process. Hence, if the concept of hard determinism is correct, the virtue of self-authenticity is deceptive, and free will is impossible to exercise.
    In this paper, a posteriori and a priori arguments for hard determinism are critically reviewed, and rationalistic compatibilism is proposed as a solution to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