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학계의 ‘반민족주의’ 논조와 ‘독도공유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Ⅰ -배성준의 ‘독도공유론’을 중심으로- (Criticizing Post Hankuk-Minjokjui(‘반’ 한국민족주의) and the Theory of Co-ownership of Dokdo with Japan -Especially that of Bae Sung-Jun-)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8.06
37P 미리보기
한국 학계의 ‘반민족주의’ 논조와 ‘독도공유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Ⅰ -배성준의 ‘독도공유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조선단군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조선단군학 / 38권 / 38호 / 5 ~ 41페이지
    · 저자명 : 신운용

    초록

    2001년 일본 후쇼사교과서 반대운동에 참여한 일련의 학자군이 한국 역사교과서가 민족주의에 기반한 서술이라고 공격하였다. 이는 독도공유론이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한국의 독도공유론은 식민지근대화론으로 대표되는 식민사학과 자유주의 사관의 ‘기묘한’ 연대 속에서 일본의 와다 하루키와 와카미야 요시부미 등의 영향 속에서 펴져나갔다.
    특히 배성준은 한국근대사를 수탈/근대라는 양분법으로 해석하는 학계의 연구현실을 비판하면서 수탈과 근대 모두를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이는 박유하가 일본의 ‘위안부’의 강제성과 자발성을 모두 보아야 일본군 ‘위안부’라는 역사현실을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결국은 식민지근대화론과 ‘반’ 한국민족주의의 입장에서 “위안부는 강제성이 없었다.”는 결론을 이끌어낸 논리와 대단히 유사하다.
    배성준은 제국주의적 성격으로 가득한 일본민조쿠슈기를 일제에 대한 저항과 반제 세계평화 이론으로 한국독립투쟁가들이 내세운 한국민족주의와 등치하여 인식하였다. 이점에서 그는 수탈보다 근대에 무게중심을 둔 박유하와 같은 식민지근대화론자, 식민사학자에 바탕을 둔 자유주의론자라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특히 배성준은 그는 독도문제를 제국주의의 침탈로 보는 정통적 해석을 부정하고 세계사 구조 속의 근대화 또는 근대성 문제로 접근하여 ‘수탈’이라는 진실을 제거해버렸던 것이다. 이를 위해 배성준은 박유하가 그러하듯이, 독도에 대한 한국 기록의 사실관계를 뒤바꾸어 뒤흔드는 일련의 작업을 통해 한국의 독도 영유권을 훼손시켰다.
    결국, 「시마네현 고시 40호」의 존재가 부정되는 현실에서 배성준의 독도공유론은 학문의 범주에서 벗어난 ‘반’한국민족주의라는 정치의식의 결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work aims to criticize a theory, so-called “the co-ownership of Dokdo with Japan.” Lately, there has been a growing tendency in the academic domain of Korea and Japan that “Korea may share Dokdo with Japan for the sake of Peace” and it is mostly by the historians who advocate the historical revisionism and liberalism. In this paper, it raises awareness and also questions especially that of Bae Sung Jun et al.
    It appears that the idea of co-ownership of Dokdo and its logical background is rooted on a groundless aversion toward the Korean minjok-jui(민족주의) that was elaborated by revisionist historians such as Wada Haruki (和田 春樹) and Wakamiya Yoshibumi (若宮啓文). The problem arises from their holding such a position. Their logic has a great potentiality to free the Japanese imperialism from the war crime in the past and nullify the responsibility. Not only that, the theory implies Japanese imperialism had benefitted Korea by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nation following the international order at that time.
    Bae also argues there is no concrete evidence for Korea to maintain the ownership of Dokdo, denying the authority and legitimacy of several historical manuscripts and works done by scholars. It seems that Bae also fail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different concepts, Japanese Minzoku-shugi that were dominant during the wartime and Korean Minjok-jui. Minzoku-shugi or Japanese nationalism was adopted by Japanese imperialism to justify her invasion to other nations and promote the peoples’ participation and sacrifice.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Minjok-jui was a driving force for the independence activists as defending the oppressed and to free the nation from the violence for the sake of world peace.
    Hence, it is not only a misguided notion that their claiming the dispute over the island is no more than an obstacle between the two nations, but also they should be aware that they represent the posi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while working for the institutions supported by that of Korea. The theory given by Bae merely resulted in the total conversion of the oppressed and the oppressor, and now finally reached the conclusion of co-ownership of the island with Japan which would be never accepted by the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