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석정(石亭) 이정직(李定稷) 문인화의 예술론과 유말구본론적(由末求本論的) 심미경지 (An essay on art of Seokjeong Lee, Jeongzic Literary Artists' Paintings and the ontological aesthetic stage of The theory of pursuing the basis from the the end)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5.12
40P 미리보기
석정(石亭) 이정직(李定稷) 문인화의 예술론과 유말구본론적(由末求本論的) 심미경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호남학 / 58호 / 73 ~ 112페이지
    · 저자명 : 김도영

    초록

    한말 격변기 속에서 全北 金堤에서 태어나 호남북부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石亭 李定稷(1841∼1910)은 古文 이론에 정통했으며, 시문과 서화, 그리고 도학을 겸비했던 문인이자, 湖南 儒學을 대표하는 학자로 海鶴 李沂(1848∼1909), 梅泉 黃玹(1855∼1910)과 더불어 ‘湖南三傑’로 지칭되어 왔다. 石亭은 28세(1868년)에 淸나라 연경을 다녀온 유학파로, 동・서양의 신문물을 보고 학문과 예술에 대한 안목과 지평을 넓혔으며, 중국 시문학에 대한 고증과 평논, 성리학에 있어서의 정주학과 양명학에 대한 변해와 논평, 의약, 산학(수학), 성력(천문학), 시문, 서화 등을 두루 학습하여 박물적 실학파의 경향을 띠고 있다. 또한, 도학, 시문논, 그리고 서화논에 이르기까지 총 25권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시문집 『燕石山房未定藁』를 통해 자신의 학문적 성과를 남겼다. 그리고 서예와 전각은 물론 산수・화조・영모에 이르기까지 겸통하여 그의 학문적 역량과 예술적 감성이 한데 어우러져 고매한 逸格의 풍취를 드러냈고, 덕성까지 겸비하였기에 당시 通儒라고 불리었다.
    石亭은 자신의 학문적 성과를 문인화를 통해서 여실히 드러내 보이고 있다. 자연사물을 단순히 玩物喪志하는 대상으로써 뿐만이 아니라 도덕이 근본이라면 문예는 末葉이며, 이 末을 통해 오히려 도덕이라는 근본으로 소급해서 이해할 수 있다는 由末求本論的 심미의경을 가졌다. 그의 예술론은 形似와 神似가 겸비된 心手相應의 경지에 도달해야 자연스럽게 寫意・傳神하여 표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문학과 철학을 통한 인격의 수양과 書卷氣를 강조하였고, 회화의 원리를 문학창작에 비유하여 설명하는 등 畵如其人의 품격 표현을 중요시 여겼다.
    이러한 石亭 문인화의 由末求本論的 예술경지를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면, 첫째, 寓意神似의 比德美이다. 石亭은 유교적 사유를 통해 자연물을 寫意・傳神的 예술정신으로 접근하여 비덕의 대상으로 삼아 비유・상징적 화제를 통해 문인예술로써의 특징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이에 더해 다양한 문인화 소재의 제발이나 시에서 단순히 회화를 그리는 기법을 논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를 고문이나 사서에 비유하여 그 갖추어야 할 바를 由末求本論을 통해 설명하였다. 둘째, 畵以載道의 調和美를 들 수 있다. 石亭이 추구한 최고의 畵境은 詩境이었던 만큼 화제시를 통해 시・서・화의 통합적인 예술경계를 형상화했던 동시에 시・서・화 일치라는 삼위일체적 소통을 통해 本源으로 깨달아 들어가는 이른바 ‘畵以載道’를 추구한 점이다. 셋째, 學古通今의 妙融美이다. 石亭은 예술에서의 진정한 創新은 선현들의 法古를 근본바탕으로 하되, 그대로 모방하고, 답습하지 말아야 비로소 스스로 일가를 이룰 수 있다고 파악하고, 먼저 古人들의 근본적인 문인정신을 이해하였다. 그리고 더 나아가 고인이 만든 法의 외형적인 측면에만 얽매여 형사적 모방에만 그치지 않고, 고법을 철저히 熟而後生한 眞熟境地에 까지 도달하여 學古通今의 妙融美를 이루었다.
    이처럼 石亭의 예술론과 서화예술은 당대뿐만 아니라 이후 한국 서화단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의 영향은 기법이나 구도의 특징에 있는 것이 아니라, 문인화에 대한 근본정신을 일깨워 주어 학문이 바탕이 된 畵以載道라는 고도의 심오한 경지를 추구하게 하였다. 그리고 서화예술에 대한 제반 문제를 학문적 이론으로 끌어 들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을 만하다.

    영어초록

    In the late Joseon dynasty or in the civilizing period born in Jeonbuk Kimje in activities around the northern hunan Seokjeong Lee, Jeongzic (1841-1910) was introduced to the torture theory, poetry and calligraphy, and who combines literary and dohak, humorous scholars representing the Haehak Leeki (1848-1909), with Maecheon Hwanghyeon (1855- 1910), it has been referred to as “Hunan samgeol. Seokjeong is 28 years (1868) in the Qing Dynasty held the Yanqing studying abroad, studying overseas, East and had broadened the horizons of the academic and artistic perspective and to see the culture, historical research on Chinese poetry and criticism, and in Confucianism jeongjuhak turned and com- ment on Yang Ming, Medicine, Academic (Mathematics), seongryeok (astronomy), and the tendency of the night tinged material throughout silhakpa to learn poetry, calligraphy and more. In addition, dohak, poetry course, and ranging from documenting loans through new the collection of works 『Yeonseoksanbangmijeongmungo』 of large volumes totaling 25 left their academic performance. And engravings, as well as calligraphy and arithmetic, flower and bird’s command from the president, through his artistic sensibility academic competence the flavor of this blend together one stop biff, case by virtue combines ‘Tongyu’ was called at the time.
    Seokjeong has shown clearly through the Literary Artists' Paintings reveal their academic performance. Natural things simply as a target not only for upper extremity wanmul morality is essential if the late literary and, through the end of malgu oil understandable but rather retroactively to the fundamental morality of had this holistic aesthetic stage. His an essay on art saw that naturally must reach the stage of simsusangeung to be expressed. In addition, emphasized the discipline and personality through the literature and philosophy, the principles of painting by analogy to literary creation was considered important expression of a painter’s personality such as described here.
    Looking into The theory of pursuing the basis from the the end of the art seokjeong Literary Artists' Paintings these three : First, a beauty metaphor drawing mind through nature. Seokjeong are giving vividl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art as the metaphor, emblematic topic as the subject of bideok by the Company, systemic approach to the natural objects of art spirit through Confucian thought. In addition a variety of Literary Artists' Paintings in please or when the material beyond simply discussing the technique of drawing a painting, it can be equipped The theory of pursuing the basis from the the end that was explained by analogy to torture or to buy through detours. Second, there may be mentioned the harmony beauty of materializing the truth through painting. The pursuit of so-called best scape seokjeong entering realized by the present communication, through the trinitarian stand, painting match was called upon at the same time shaping an integrated arts, west border of the city, Painting through topical as it was when floodlights ‘Materializing the truth through painting’ the pursuit of a point. Third, mysterious and interact beauty of learning the past and interact today. Seokjeong is a true innovation in the arts, but the ‘beopgo’ of saint a fundamental basis, as is imitation, and should not be followed finally understand that you can make yourself and your family, were first understand the underlying spirit of the deceased literary figures. And it not just further deceased made only outward side only tied imitation of criminal law, to reach the heights ‘jinsuk’ thoroughly by the ministry bowed high court finished the grave suffering mysterious and interact beauty of learning the past and interact today.
    Thus an essay on art and documenting the art of seokjeong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outh Korea since the stand, as well as contemporary bedding. His influence was no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chnique or composition, the study was to seek a profound state of altitude is called the desktop materializing the truth through painting given to awaken the spirit of the Literary Artists' Paintings. And attracted to the academic theory about the various problems in the art it is documented only be appreciated in this rega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