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암 박지원의 교육관과 공부론 (The Educational View and The Theory of Study of YeonAm, Park Jiw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2.11
32P 미리보기
연암 박지원의 교육관과 공부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와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교육 / 35호 / 9 ~ 40페이지
    · 저자명 : 박수밀

    초록

    본고는 실학의 대표적 인물인 연암 박지원의 교육과 공부에 대한 관점을 살펴, 실학 교육의 미래 가치에 대해 조명해 본 것이다. 연암은 평생 연암 그 룹의 리더로서 학문 공동체를 이끌어 왔으며 당대의 교육 현실에 깊은 문제 의식을 지녀왔다. 그리하여 먼저는 연암의 삶과 글에서 교육과 관련된 요소 를 찾아내어 연암의 교육 태도를 찾아보았다. 첫째, 연암은 제자들과의 관계 에서 수직 관계에서 벗어나 평등하고 수평적인 입장에서 제자들과 격의 없이 토론을 펼쳤다. 둘째, 연암은 제자들에게 과거를 좇지 말고 그 시대의 언어로 표현하며 그 시대의 현실을 이야기해야 한다고 가르쳤다. 셋째, 연암은 자식 과의 관계에서 전통적인 부모상에서 벗어나 지시 대신 청유형을 사용하여 자 식의 의견을 존중했다. 요컨대 연암은 신분과 이해관계를 초월해 인간을 대 하고 권위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열린 자세로 제자와 자식을 가르쳤다. 다음으로는 연암의 공부론을 살폈다. 연암은 기존의 문자와 지식이 진실을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연암은 활자화된 문자에 구속되 지 말고 자연과 사물 앞으로 나아가라고 말했다. 연암은 자연의 온갖 사물과 현상이 책이라고 말한다. 이른바 기호 문자에서 자연 문자로의 전환이다. 그 러므로 진정한 책 읽기는 자연과 사물을 세심하게 관찰하는 행위가 된다. 이 는 독서 개념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라고 부를 만하다. 그러나 인간의 지 식은 문자를 통해 기록되고 전해진다. 따라서 연암이 사물 읽기를 강조한 것 은 문자의 한계를 잘 깨달아 제대로 된 공부로 나아가기 위함이었다. 연암은 책을 읽을 때는 암기만 해서는 안 되며 마음을 비우고 요약하고 깨닫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글쓴이의 고심처를 읽어낼 때 진정한 공부 행위가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수평적이고 자유로운 소통 방식과 창의 융합형 제자 양성이라는 연암의 교 육 태도는 21세기가 요구하는 교사상을 보여준다. 더불어 기존의 문자와 지 식을 의심하고 새로운 독서 패러다임을 제시한 그의 공부론도 오늘날의 교육 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준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realize the point of viewing education and study of Park Jiwon, the key writer of Silhak, then to overview the value of Silhak education for the future education. He was the leader of YeonAm scholar group, leading the community and deeply concerning about the education reality of those times. First of all, his educational attitude is to be revealed in his life and writings especially related with an education. Firstly, he talked with his students with open-minded attitude, taking horizontal attitude rather than vertical. Secondly, he insisted and taught them to talk and write about the reality of that time with real and practical languages of that time, not seeking the past. Thirdly, in a relationship with his children, he respected their opinions by using requesting communication form, not commanding them by one side, avoiding the authoritarian stereotype of parents. In short, YeonAm overcame the relationship of understanding and positions, faced people with open mind, taught his children and students not with hierarchical attitude. His theory of study is researched in following way. YeonAm thought that the existing letters and knowledge did not contain the truth. He insisted on coming forward closer to the nature and things, crossing over the written letters. He talks that every nature and thing are books themselves. That is, a change into natural letters from signal letters. So the true reading is an act of investigating nature and things. It could be called paradigm change of concept of reading. Yet, human knowledge passes further in a written form. So his stress of reading things is to drive outreaching toward the true study, acknowledging the limit of written letters. He claimed that in reading books, reading itself is not enough, yet it should be summarizing and recognizing process. And more as he considered, reading the key consideration of the authors is satisfying act of studying. The open-minded and horizontal communication and students making in a creative and integrated way, his educational attitude, is the exemplary picture of teacher in the 21st century. His theory of study, representing new reading paradigm, overcoming the existing letters and knowledge is very meaningful to today’s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