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음 김상헌의 현실 인식과 척화론 (Kim Sang-heon’s Perception of the East Asian Situation and an Argument of Anti-Capitulatio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1.04
34P 미리보기
청음 김상헌의 현실 인식과 척화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67호 / 317 ~ 350페이지
    · 저자명 : 우경섭

    초록

    호란기 숭명반청의 척화론을 주도했던 김상헌은 주자학적 명분론을 대표하는 인물로 평가받아 왔다. 그러나 그는 문장 실력을 바탕으로 과거에 급제한 이래 관료로서 정체성을 지녔던 반면, 도학에 대한 관심은 그리 깊지 않았다. 또한 전통적인 한학(漢學)의 세계관에 입각하여, 현실 극복의 전범으로서 흉노와 대치하던 한나라의 치세와 인물을 이상으로 삼았다. 아울러 선악필보(善惡必報)를 의심하며 천도(天道)와 인도(人道)의 어긋남을 회의했는데, 이는 천도의 보편성과 항상성을 확신했던 주자학파의 신념과 거리가 있었다.
    두 차례 호란을 겪으며 김상헌은 시종일관 척화를 주장했다. 그런데 김상헌에게 주화와 척화란 전쟁에 대처하는 방법론적 차이에 불과했다. 명에 대한 의리를 내세우며 척화를 선택했지만, 거기에는 화친과 항복을 염두에 둔 현실적 판단 또한 개재되어 있었다. 그리고 전쟁이 끝난 뒤에는 명의 보복을 우려하며, 청의 파병 요구에 응하지 말 것을 주장했다.
    병자호란 당시 승패를 초월한 척화론이 대세였지만, 그것은 늘 현실적 이해관계와 병렬적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명 멸망 이후 숭명반청의 정당성은 현실적으로 합리화될 수 없었고, 형세적 강약이 아닌 도덕적 당위만의 차원에서 규정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 김상헌은 ‘춘추대의의 화신’이라는 새로운 평가를 얻게 되었다.

    영어초록

    Kim Sang-heon, who led the argue of anti-capitulation, has been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of the principles of Neo-Confucianism in the mid-17th century in the face of the the Change from Ming to Qing. However, he became an official based on his writing skills, and his philosophical interest in Neo-Confucianism was not that deep. Based on the traditional Scholarship of Han, he idealized the reign and character of Han that was confronted by Xiongnu. Also, his tendency to lament the discrepancy between the law of heaven and human world was far from the beliefs of Neo-Confucians who were convinced of the universality and constancy of the law of heaven.
    During the two invasions of Qing, Kim Sang-heon insisted on the argue of anti-capitulation. But to him, capitulation or anti-capitulation were just a methodological difference in dealing with the war. He chose to fight against Qing, citing the loyalty to Ming, but it was a realistic judgment with capitulation in mind. And after the war ended, he insisted on not cooperating with Qing, fearing retaliation from Ming.
    At the time of the war, the argue of anti-capitulation that transcended victory or defeat was the prevailing trend. But it always had to be explained in parallel with realistic interests. However, after the fall of Ming, Joseon gradually obeyed the order of East Asia, led by Qing. From this point on, the loyalty to Ming could no longer be realistically rationalized, and its legitimacy began to be explained on a moral level, not on a realistic situation. In this trend, Kim Sang-heon gained a new reputation as a ‘symbol of Confucian Jus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