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유교 지식인의 命론 (Neo-Confucian Intellectuals’ View of Mandate in the Late Joseon Period)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9.06
26P 미리보기
조선 후기 유교 지식인의 命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학연구 / 37호 / 437 ~ 462페이지
    · 저자명 : 최정연

    초록

    이 논문은 조선 후기 유교 지식인의 命론을 시론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통해 조선의 지식인들이 주희의 명론을 기본적으로 따르면서도, 그것을 정교하게 재구성하고 있음을 보일 것이다. 주희 성리학에서 명은 천명으로, 氣數와 천리를 동시에 의미한다. 그들은 천명을 천리와 기수로 해석하는 주희의 입장을 수용하는 한편, ‘이름[名]’을 천명에 추가하면서 이전 전통과 미세하게 달라진 명론을 주장한다. ‘이름’은 인간만이 부여받는 명으로 사후에 역사에서 회자 되는 인물 평가를 의미한다. 인물의 행위에 따라 하늘이 영원히 회자 될 평가를 필연적으로 예비해 놓았다는 점에서 이름 역시 천명에 포함된다.
    또한 조선의 유교 지식인들은 명에 대처하는 바른 태도로서 立命론과 造命론을 제시했는데, 이는 심학적 훈련에 기초한 실천 이론이었다. 전자는 存心養性하여 길흉화복을 편안히 수용하는 가운데 주어진 법칙대로 삶을 온전하게 누리는 것이다. 후자는 제한된 여건 속에서 개인이 직면한 문제점을 극복하여 화를 복으로 바꾸는 것이다. 명에 대처하는 이러한 태도는 기수를 불가항력의 운명으로 보면서도, 천리를 좇아 상황을 개선하고 美名을 남기는 실천 주체가 인간이라고 확신한 그들의 운명관을 잘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late-Joseon Neo-Confucian theory of mandate (命) and reveals how scholars then overall conformed to Zhu Xi’s theory of mandate on one hand and restructured its detail on the other. In Zhu Xi’s theory, a ”mandate,“ or a Mandate of Heaven (天命), referred to qishu (氣數) and the principle of heaven (天理). The late-Joseon scholars overall followed Zhu Xi’s concept of the cycle of qi and the heavenly principle, but subtly altered the theory by adding ”names“ (名) as another component of the Mandate. To them, names were regarded as a type of mandate bestowed only to humans and a means of posthumous evaluation of a figure in histories. It was a way that Heaven evaluated one’s action posthumously for ever-lasting memory in history. Names were thought to be preordained, thus included as a Mandate of Heaven.
    Two practical theories were also proposed on establishing one’s mandate and creating destiny as an appropriate response to the Mandate, by training in the study of heart-mind (心學). The former dealt with an attitude to preserve one’s mind and cultivate one’s nature in order to live a life in its whole, calmly embracing vicissitudes of life while conforming to the principles. The latter focused on overcoming one’s problems ahead and turning disasters into fortune. Such responses towards the mandate or destiny well-represents the late-Joseon Neo-Confucian view of destiny, in which qishu (氣數) was regarded inevitable, yet solidly maintained belief in human being as a practical entity who improves their situation by following the heavenly principle and eventually preserve their good names in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