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식불교의 識과 화이트헤드의 주관주의적 원리 - ‘무(無)대상적 관념론’과 ‘대상적 관념론’ - (Yogācāra's Vijñapti and the Subjectivist Principle of A. N. Whitehead)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3.01
46P 미리보기
유식불교의 識과 화이트헤드의 주관주의적 원리 - ‘무(無)대상적 관념론’과 ‘대상적 관념론’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 수록지 정보 : 화이트헤드 연구 / 25호 / 105 ~ 150페이지
    · 저자명 : 이경호

    초록

    필자는 동 서양 간 사상들의 비교는 차이에 근거한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이 보다 적절하고 생산적이라고 판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고는 동양 대승불교 사상의 한 축인 유식불교와 20세기 서양 형이상학자 알프레드 노드 화이트헤드(Alfred N. Whitehead, 1861-1947)의 철학이 관념론의 범주에 함께 속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양 사상을 비교한다. 유식불교를 관념론의 전형으로 여기는 것은 학계의 관행이지만 화이트헤드의 철학은 실재론 또는 신실재론으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필자는 그의 철학의 풍부한 관념론적 성향을 부각시켜(관념론의 방향에서 그의 철학을 바라봄으로써) 서로가 상사적인 관계에 속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렇게 하는 동시에 그 양 사상은 또 다른 국면에서 상호 간 차이를 두드러지게 할 수도 있다는 전략으로 나아가 양 사상의 적지 않은 차이에도 주목하고자 한다.
    필자는 화이트헤드가 그의 주저 『과정과 실재』 곳곳에서 분석한 흄의 철학적 지각설에 관한 주장을 최대한 활용하여 유식불교의 식 실재론에 다가가는 교량으로 삼는다. 흄의 철학적 지각설과 유식불교의 식에 관한 주장들이 상호 간 상당히 근접하고 있다고 필자가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식불교는 소승(특히, 설일체유부)의 외부 실재론 부정에 힘입어 관념론적 사상의 토대를 확립하였고, 화이트헤드가 분석한 흄은 자신의 감각주의적 학설 속의 주관주의적 원리를 통하여 지각을 보편자들(Universals)로만 이루어진다는 주장을 전개함으로써 상이한 역사적 환경에서 근접된 이해에 도달하였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점을 활용하여 필자는 ‘화이트헤드와 흄의 관계’가 어느 정도 ‘화이트헤드와 유식불교의 관계’에 대응되는 구조일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데 주력한다. 이런 점들에 근거해 서양의 화이트헤드의 사상과 동양의 유식불교 사상 간의 차이를 적실하게 보여주는 것으로 필자가 판단하고 선택한 한 주제를 다룸으로써 동서 사상의 차이를 제시한다. 이는 양 사상의 생산적인 대화와 변화로의 모색을 전제한 것이다.

    영어초록

    The writer thinks that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East-West thoughts must be generally executed in terms of their difference(even, disagreement). For me it seems to be more substantial and productive.
    However, this thesis makes a comparison between the Yogācāra School(or Consciousness-only School) of the East and the Process Philosophy of A. N. Whitehead of the West in falling under the category of idealism. The former has philosophically been one of the principal axes of the Mahayana Buddhism in the East, and the latter is a metaphysical thought of 20 century in the West.
    This idealistic exploration is the first theme at which the writer aims by means of this thesis. Therefore, striving to display distinctive features which can characterize the two thoughts idealistically, I make a choice the parallel subjects for comparison, Yogācāra's Vijñapti(識, the total eight Vijñãna in details) and the Subjectivist Principle of A. N. Whitehead. I believe and hope they all will disclose idealistic characters of the thoughts of Yogācāra School and Whitehead.
    Nevertheless, it is unfair only to indicate some points of similarity on them. Although they could be included into the idealistic domain in a sense, my secondary theme is to make clear their important differences(or distinction) in other aspects.
    I come to understand that the core difference between them is on whether the external world exist in our perceptual experience or not. The Yogācāra School has asserted there are not any other thing and the world except the perceptual mind(or knower) Owing to this point, the Yogācāra School is also called Consciousness-only School. All the things(the visible, or the invisible) of the world around us is purely created by the perceptual mind(Vijñapti, Creation out of Mind).
    But Whitehead's idealism contends the experiential appropriation of external world through the its Subjectivist Principle. To appropriate is not to perceive the external world itself, but to perceive it idealistically for self-formative activity. This is that which the Vijñapti and the Subjectivist Principle means respectiv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