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수신의 초기 사상과 경세론 (Noh Su-Shin's Early Thoughts and Gyeongser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9.12
34P 미리보기
노수신의 초기 사상과 경세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태동고전연구 / 25호 / 73 ~ 106페이지
    · 저자명 : 신향림

    초록

    본 논문은 소재 노수신(1515~1590)의 유배기 이전의 저작에 나타난 황극론과 공부론을 그의 경세론과 연관하여 고찰한 것이다. 소재는 30세 때 세자에게《서경》을 강의하면서 ‘극을 중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고 하여 주희의 황극론과 일치하는 발언을 하였다. 그러나 그는 이 서연강의에서 ‘극은 바로 미발의 중이다’라고 하여 육구연의 황극론을 지지하는 발언을 하기도 하였다. 서연강의 내용을 살펴보면 소재가 극을 정치적인 중도(中道)․중립(中立)을 의미하는 중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고 본 주희의 정치적인 입장만을 수용했고, 극을 미발의 중으로 해석하는 문제에 있어서는 육구연의 황극론을 긍정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소재는 또한 서연 강의에서 격물치지에서 성의로 나아가는 공부순서를 강조한 주희의 공부론을 지지하였다. 소재는 훈구관료들이 사림을 탄압하고 있던 혼란한 정치상황을 극복하고 사림의 정치적 진출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군주의 도덕적 판단능력을 제고시키는 것이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서연강의에서 격물치지의 중요성을 거듭 역설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소재가 20대 후반에 주자학의 격물 공부를 진정으로 긍정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이는 과거의 답안으로 작성한 〈구사어삼대지하, 유공불호명론(求士於三代之下, 惟恐不好名論)〉을 살펴보면 알 수 있다. 소재는 이 글에서 예제(禮制) 등의 객관 규범을 준수하여 마음의 도덕법칙을 회복하는 공부 태도를 ‘소인유(小人儒)’의 공부로 규정하고, 이러한 공부를 하는 사람은 나라가 무너지는 것을 막는 관료는 될 수 있지만 성인의 경지에 함께 들어갈 수 없을 것이라고 하였다. 소재는 또한 31세 때 주자학의 격물 공부를 비판하고 양명학의 공부론을 지지하는 내용의 한시를 창작하였다. 서연강의의 내용과 과거 답안, 그리고 위의 한시를 살펴보면, 소재가 20대 후반에 공식적으로 지지했던 주자학은 경세를 위한 방편에 불과했고 그가 진정으로 추구한 학문은 양명학이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Hwanggeukron and Gongburon of Sojae Noh Su-shin(1515~1590) in his works before his exile in relation to his Gyeongseron. Teaching Book of History to the crown prince at age 30, he said "Extreme must no be interpreted as neutral," which matches the Hwanggeukron by Chu-Hsi. However, at the same time, he also made a comment that supported the Hwanggeukron by Yuk Gu-yeon by saying, "Ultimate is the neutral of unformed." A look at his Seoyeon lectures reveals that Sojae accepted only the political position of Chu-Hsi that maintained Ultimate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neutral that means the middle path or neutrality and that he agreed with the Hwanggeukron by Yuk Go-yeon for the issue of interpreting Ultimate as the neutral of unformed. In his Seoyeon lectures, he also supported the Gongburon by Chu-Hsi who emphasized the study order toward sincerity from Gyeokmulchiji. He judged it's the most urgent to help monarchs increase their moral judgments in order to overcome the chaotic political situation in which the Hungu officials oppress Sarims and to help Sarims make a debut in the political scene. It's based on such perception of the issues that he repeate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Gyeokmulchiji in his Seoyeon lectures. But one cannot say that he accepted the gyeokmul study of neo-Confucianism truly positively in his late twenties, which is well understood in his answer at the state exam, "Gusaeosamdaejiha, Yugongbulhomyeongron." In his answer, he defined the study attitude of observing objective rules such as etiquette and institution and recovering the moral principles in the mind as the study of "Soinyu" and maintained that such a study would produce official to prevent a country from collapsing but not to enter the state of saint. After being removed from the position at 31, he created a Chinese poem in which he criticized the Gyeokmul study of neo-Confucianism and supported the Gongburon of Yangmyeonghak. Judging from his Seoyeon lectures, his answer at the exam, and his Chinese poem to support the Gongburon of Yangmyeonghak, it's clear that he officially supported neo-Confucianism in his late twenties as a means of Gyeongse and truly sought after Yangmyeongha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태동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