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자 사상을 통해 본 장욱진 회화 연구-안명론(安命論)과 소요유(逍遙遊)를 중심으로 (A Study on Chang Ucchin’s Paintings; focus on Anminglun and Xiaoyaoyou)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0.08
23P 미리보기
장자 사상을 통해 본 장욱진 회화 연구-안명론(安命論)과 소요유(逍遙遊)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48호 / 153 ~ 175페이지
    · 저자명 : 마승재

    초록

    장욱진은 한국 근·현대미술사에서 이중섭, 박수근과 더불어 한국적인 정서를 구현한 대표적인 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예술의 순수한 본질을 추구했으며, 단순하고 간결한 조형세계는 생전에 그가 이야기한 ‘나는 심플하다’라는 언행을 반영한다. 자유롭고 독창적인 표현을 바탕으로 하는 그의 회화는 자연을 따르고자 하는 사유와 소재들로 구성된다. 본고는 이러한 장욱진 회화에서 장자의 안명론(安命論)과 소요유(逍遙遊)정신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장자는 삶과 죽음, 실체와 현상, 속세와 열반이 하나의 존재이며, 이러한 죽음과 희노애락은 대자연의 이치에 따른 결과로서 운명이라고 말한다. 명(命)에 대한 철저한 자각과 순응의 태도는 외물(外物)의 구속에서 벗어나 불사불생(不死不生)의 경지에서 궁극적인 자유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장욱진은 작품에 소재에 있어서도 구애받지 않았으며, 없으면 없는 대로 있으면 있는 대로 그린다고 말하였다. 또한 본인의 사는 방식에 있어서도 순리대로 사는 삶을 강조하였다. 삶과 죽음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도 초탈하고 관조하는 모습과 그 사유를 회화를 통하여 표현하였다는 점에서 삶과 죽음을 구분 짓지 않고 주어진 운명에 순응하는 장자의 명(命)에 대한 사유와의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자족과 자유, 물화의 경지를 강조한 『장자』의 소요유 정신은 장욱진 회화의 예술정신과 일치한다. 『장자』에서 말하는 초월은 정신적으로 가장 높은 단계로 자기와 사물의 대립을 소멸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널리 알려진 ‘나비가 된 장자’, ‘물고기의 즐거움’등 ‘주체와 객체의 인식-체험 방식의 전환’, 즉 물아양망(物我兩忘)의 경지이다. 장자 특유의 우언(寓言)으로 이루어진 ‘소요유’는 시간과 공간, 현실을 초월하여 자유와 해방의 느낌으로 가득찬 장욱진 회화와 상통한다. 또한 장욱진 회화의 주된 소재인 까치와 나무는 화가 자신을 나타내는데, 화가가 자신을 자연에 투사시킴으로써 주체의 심리를 대상에 이입하였다는 점에서 장자의 물화(物化)의 경지와 연관성을 찾아 살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장욱진의 사상과 창작태도, 그리고 이를 통해 드러난 회화를 장자의 사유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장자의 안명론과 소요유의 경지는 자연을 따르는 것을 강조하기에 이러한 사유는 장욱진이 표현하고자 했던 이상향과 예술정신에 맞닿아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영어초록

    Chang Ucchin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artist who embodies Korean sentiment, along with Lee Jungseop and Park Sookeun, i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history. He pursued the pure essence of art, and his simple and concise formative world reflects his saying “I am simple” as he said during his lifetime. His paintings based on free and original expression are composed of thoughts and materials to follow nature. This paper examined how Anminglun and Xiaoyaoyou spirits of Zhuangzi are shown in Chang Ucchin’s paintings.
    Zhuangzi says that life and death, reality and phenomenon, and world and nirvana are one being, and that such death and joy and sadness are fate as a result of great nature. The thorough self-awareness and conformity to Ming are that ultimate freedom can be obtained from the state of immortality, free from the restraint of the externals.
    Chang Ucchin said that he was not limited in the subject matter of artworks and that he would draw as much as there was without. In addition, he emphasized living in accordance with reason in his lifestyle. That he transcended and contemplated in his attitude toward life and death and he expressed such thoughts through paintings can draw a similarity with Zhuangzi's thinking toward Ming, in which he conformed to the given fate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life and death.
    The Xiaoyaoyou spirit of “Zhuangzi”, emphasizing self-sufficiency, freedom, and materialization, is consistent with the art spirit of Chang Ucchin’s paintings. The transcendence in “Zhuangzi” is the highest level of spirit, which is to extinguish the conflict between self and objects. This is the ‘recognition of the subject and object—change of the way of experiencing’ such as the well-known “Zhuangzi Who Became a Butterfly” and the “Pleasure of Fish”, that is, ‘Mulayangmang.’‘Xiaoyaoyou’, which consists of Zhuangzi's unique allegoric tales, shares commonality with Chang Ucchin’s paintings that are filled with the feelings of freedom and liberation transcending time, space and reality. Also, Magpie and Tree, the main subject matters of Chang Ucchin’s paintings, represents the artist himself; in which the connection to Zhuangzi’s state of wuhua(materialization) can be found as the artist brought the subject’s psychology into the object by projecting himself into nature.
    This paper examined the thoughts and creative attitude of Chang Ucchin and the paintings expressed accordingly through Zhuangzi's thinking. As Zhuangzi’s state of Anminglun and Xiaoyaoyou emphasize following the law of nature, it can be confirmed that such reason is in line with the utopia and artistic spirit that Chang Ucchin sought to expr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