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기 선종의 불성론(佛性論) 연구 - 『수심요론(修心要論)』을 중심으로 - (A Study on Buddha-nature Discourse in Early Chan: A Case of the Treatise on the Essentials of Cultivating the Mind (Xiuxinyaolun))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4.06
42P 미리보기
초기 선종의 불성론(佛性論) 연구 - 『수심요론(修心要論)』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36호 / 69 ~ 110페이지
    · 저자명 : 강지언

    초록

    현재 학계 연구성과에 따르면 선종의 형성에 핵심적인 인물은 홍인(弘忍, 601-674)이며, 이 시기 선종 사상을 파악할 수 있는 문헌은 『수심요론(修心要論)』이다. 본 연구는 돈황본 『수심요론』의 구성과 특징을 분석하고, 여러 불교 교리 및 신행이 공존한 중국에서 『수심요론』은 오직 심(心) 중심의 대승 불성론 및 성불론을 전개하였으며, 이것이 초기 선종 불성론의 의의임을 탐색하고자 한다.
    『수심요론』은 형식 면에서는 문답을 활용한 논서이지만, 목적과 내용에서는 불도(佛道)로 나아가는 구도자를 위한 실질적인 수행 지침서이다. 따라서 문답 전반부에서는 수행자를 위한 올바른 앎으로서 심 중심의 대승 불성론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중생의 신(身), 본사(本師), 타불(他佛)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여 외부의 스승이나 부처를 구하는 대신 자기 안의 부처, 즉 청정심이자 진심을 스스로 알아야 한다는 선종의 종요를 명확히 세운다. 나아가 해와 구름의 비유를 들어 성불은 자기 성품에 스스로 깨어나는 것이자 불성의 온전한 드러남이라는, 불성 사상의 성불론을 전개한다.
    이를 바탕으로 문답 중반부에는 논을 관통하는 주제어이자 핵심 수행으로 ‘수심(守心)’을 제시한다. 수심은 중생이 이미 청정심을 갖추고 있다는 불성론을 바탕으로 오로지 자기 마음만을 수행의 대상으로 삼는 논의 특징을 보여준다. 또한, 수심을 통해 이르게 되는 열반, 수심에서 유의해야 ‘무기심(無記心)’· ‘아소심(我所心)’에 관한 설명에서 『수심요론』이 대승의 불성·공 사상을 토대로 수행과 증득을 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수증론은 여러 교리 및 수행이 중국 전통과 결합하여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던 당시 대중적 불교 양상과 큰 차이를 보인다. 『수심요론』은 고행, 삼매 및 경계를 한계가 있는 수행으로 보며, 특정한 수행법을 강조하는 대신 수행법들을 마음 수행의 방편으로 활용한다. 나아가 행주좌와에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이를 제일로 둔다. 오롯이 대승의 불성·공 자체에 입각한 마음 중심의 수행 체계는 중국 여타 종파와 구분되는 선종 불성론의 의의이다. 이러한 특징은 보리달마(菩提達磨) 및 ‘선(禪)’과 연결되어 ‘선종’이라는 종파를 형성하면서 불성을 바탕으로 한 마음 수행을 널리 전파하였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current academic research, a pivotal figure in the formation of Chan Buddhism is Hongren (弘忍, 601-674), and the text that can best capture the Chan thought of this period is the Treatise on the essentials for Cultivating the Mind (Xiuxinyaolun, 修心要論).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Dunhuang manuscript of the Treatise on the essentials for Cultivating the Mind and to explore how it developed a Mahāyāna doctrine of Buddha-nature (佛性) and attaining Buddhahood (成佛), focusing solely on the mind, amidst the coexistence of various Buddhist doctrines and practices in late 7th to early 8th century China. This aspect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the Buddha-nature theory in early Chan Buddhism.




    In terms of form, the Treatise on the essentials for Cultivating the Mind uses a question-and-answer format but serves as a practical guide for the practitioner’s journey towards enlightenment. In the first part of the dialogue, it explains a mind-centered Mahāyāna Buddha-nature theory as the correct understanding for practitioners. Using expressions such as the physical body (身), the original teacher (本師), and other Buddhas (他佛), it clearly establishes the Chan principle of recognizing one's own inner Buddha — pure mind or true mind — instead of seeking external teachers or Buddhas. Further, it employs the metaphor of the sun and clouds to illustrate that enlightenment is the awakening to one's own nature and the full manifestation of Buddha-nature, presenting a theory of attaining Buddhahood.




    Based on this, "maintaining the mind" (守心) as the central theme and key practice is explained in the middle part of the dialogue. The discussion of maintaining the mind, based on the Buddha-nature theory that sentient beings inherently possess a pure mind, characterizes the text's unique approach of focusing solely on one's own mind as the object of practice. Additionally, the explanations of Nirvana achieved through maintaining the mind, and the warnings about “indeterminate state of mind (無記心)” and “self-grasping mind (我所心)” demonstrate that the Treatise on the essentials for Cultivating the Mind expounds on practice and realization based on Mahāyāna Buddha-nature and emptiness (空) theories.




    This discourse on practice and realization significantly differs from the popular Buddhist practices in China at the time, which combined various doctrines and practices with Chinese traditions. It views asceticism, samādhi (三昧), and perceptual objects (境界) as limited and instead emphasizes using various methods as skillful means (方便) for maintaining the mind. Furthermore, the highest priority is given to those whose minds remain undisturbed whether they are walking, standing, sitting, or lying down. The Mahāyāna practice system centered on the mind, based on Buddha-nature and emptiness, signifies the unique aspect of the Buddha-nature discourse of the formative Chan distinct from other Chinese sects. These characteristics, connected with Bodhidharma and "Chan (禪)," eventually led to the formation of the Chan school and the widespread propagation of mind-centered practice based on Buddha-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