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돈화의 동학사상 연구 —‘인내천(人乃天)’과 ‘지기론(至氣論)’을 중심으로— (A Study on Lee Don-Hwa’s Donghak Thought: Focusing on ‘Innaecheon (人乃天)’and ‘Theory of Jigi (至氣)’)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3.05
26P 미리보기
이돈화의 동학사상 연구 —‘인내천(人乃天)’과 ‘지기론(至氣論)’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99호 / 361 ~ 386페이지
    · 저자명 : 정혜정

    초록

    본 연구는 일제 강점기 이돈화의 동학사상을 ‘인내천(人乃天)’과 ‘지기론(至氣論)’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이돈화는 인내천의 한울을 ‘대우주의 양적 한울’과, ‘무위이화(자율적 창조)의 질적 한울’로 접근하였다. 그리고 그 연장선에서 ‘사람성 무궁’과 ‘사람성 자연’의 개념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수운이 말한 “무궁한 이 울, 무궁한 나”, 그리고 해월이 말한 “대우주, 대생명, 대정신”의 한울님 개념을 계승한 것이었다. ‘사람성 무궁’은 차별상으로 나타나는 우주만유의 총체를 포괄하는 개념이고, ‘사람성 자연’은 사람의 본성이 곧 한울의 영능(靈能)이라는 자각 위에 인간(한울) 스스로 무위이화를 전개하는 개벽의 주체임을 의미했다. 한편 이돈화는 수운의 한울님 체험을 ‘천사문답(天師問答)의 정신현상’으로 규정하고, 3단계의 변화(상제천→범재천→인내천)로 그 과정을 인식하여 동학의 신관을 ‘인내천 신(神)’, 즉 ‘범신론적 일신론’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서구 진화론과 근대 실재론을 활용하여 ‘무위이화의 진화론’과 ‘지기실재론’을 전개시키는 동시에 서구 사유와 차별화시켜 나갔다. 이돈화의 동학사상은 ‘한울철학의 심화’이고 동학의 불교적 체용론을 살려 나간 ‘지기론의 체계화’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onghak thought of Lee Don-hwa, who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Donghak theorist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focusing on ‘Innaecheon (人乃天)’ and ‘theory of Jiki (至氣)’. When Donghak said, ‘Human is Hanul (Innaecheon, 人乃天)’, Lee Don-hwa divided Hanul into ‘quantitative Hanul of the great universe’ and ‘qualitative Hanul as autonomous creation of Muwiihwa (無爲而化)’. Muwiyihwa means Jigi(至氣, extreme energy)’s autonomous creation. Lee Don-hwa understood Su-woon's experience with Hanul-nim as a mental phenomenon of ‘mutual dialogue (天師問答)’. This was presented as the ‘God of Innaecheon(人乃天)’, that is, ‘pantheistic monotheism’ that went through a process of gradual change. Here, the gradual change means the stage of hearing the heavenly language from the air→the stage of hearing from the inside→the stage where each word becomes the inner voice and becomes the heavenly language. In addition, Lee Don-hwa also described Inaecheon as ‘humanity infinity’ and ‘humanity nature’. The ‘humanity infinity’ means to encompass the totality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that appear as differential images. The ‘humanity nature’ as Hanul’s spiritual power, means the subject of Gaebyeok (開闢) who achieves Hanul’s autonomous creation. This was part of Inecheon’s philosophical systematization, which led to the ‘Evolutionary theory of Muwiihwa (無爲而化)’ and ‘Theory of Jigi re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