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학의 ‘성(誠)’관에 나타난 기일원론(氣一元論) 문제 (The Issue of Qi-monism in the ‘Sincerity’ Veiw of Donghak)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3.06
29P 미리보기
동학의 ‘성(誠)’관에 나타난 기일원론(氣一元論)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92호 / 125 ~ 153페이지
    · 저자명 : 이정애

    초록

    동학은 ‘성(誠)’관을 통해 인간의 정체성과 관련되는 인간다움의 논리를 정립하고자 한다. 동학의 ‘성’관은 불변의 리(理)를 중시하는 논리에 근거하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기(氣)의 논리를 토대로 하여 성립되었다.
    동학은 이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기(氣)의 조화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생각한다. 동학에 의하면 이 세계는 ‘한 기[一氣]’인 ‘지기(至氣)’에 의해 가득 채워져 있고, 모든 만물은 이 ‘지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동학은 인간 역시 ‘지기’에 의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인간은 이 우주의 법칙을 잘 파악해야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곧 동학은 세계의 존재 근거와 운행원리에 대해 기일원론(氣一元論)의 관점으로 이론체계를 구성했다.
    동학은 사심(私心) 없이 공평한 하늘의 마음을 삶 속에서 진실하게 드러내는 인간의 태도를 ‘성(誠)’의 논리로 규명한다. 동학에서 ‘성’은 허령창창한 ‘지기’가 인간의 내부에서 형성한 신묘한 생명 활동이다. 이 생명 활동은 항상 공평무사한 하늘과 함께하기 때문에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도덕성의 발원처이다.
    동학에서 수심정기(守心正氣)는 성(誠)을 구현하기 위한 실천 방법이다. 동학은 전통적인 유학에서 중시하는 하늘의 운행 원리인 천도(天道)와 사람의 길인 인도(人道)의 통일에 대한 관점을 활용하여 이러한 독창적인 수심정기의 논리를 구성한다.
    동학에서 ‘성’은 본래의 마음인 순수한 하늘의 마음을 잃지 않고 지키며 기를 바르게 하는 인격수양의 상징일 뿐만 아니라, 평등사회를 구현하는 평화로운 실천 방안이다. 동학에서 중시하는 도덕적 삶은 사회적 실천의 중요한 이론 근거이다. 동학은 사회적 존재인 인간이 스스로 내면의 자각을 통해 바람직한 공동체 사회를 형성해야 할 것으로 여긴다. 동학의 이러한 공동체 의식을 기반으로 하는 평등사회 건설의 지향은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모두 ‘한 몸[一體]’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이처럼 기일원론(氣一元論)을 토대로 하는 동학의 ‘성’관은 인간 각자가 하늘님임을 깨달아 모두 평등한 존재로서의 삶을 영위할 것을 지향한다.

    영어초록

    Donghak attempts to establish the logic of humanness related to human identity through the view of ‘Sincerity’. Donghak's view of Sincerity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logic of constantly changing energy, not on the logic that values immutable rationality.
    Donghak thinks that everything that exists in this world is formed by harmony of spirit. According to Donghak, this world is filled by the huge spirit, which is the ‘one Qi[一氣]’, and all things are made by this ‘extreme Qi(至氣)’, Since Donghak was also achieved by ‘extreme Qi’, I think humans can live a human-like life only when they understand the laws of this universe well. Soon, Donghak formed a theoretical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origin on the basis of existence and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world.
    Donghak identifies the human attitude that truthfully reveals the fair mind of heaven in life without self-interest with the logic of ‘Sincerity’. In Donghak, ‘Sincerity’ is a mysterious life activity formed inside humans by the mysterious "Jiji." This life activity is always with a fair sky, so it is the source of morality that can maintain human dignity.
    In Donghak, keeping the mind upright(守心正氣) is a practical method for realizing Sincerity. Donghak constructs this unique logic of depth by utilizing the perspective of the unification of way of heaven, the principle of heaven's operation, and the path of way of human, of humans, which are emphasized in traditional study abroad.
    In other words, in Donghak, ‘Sincerity’ is not only a symbol of personality cultivation that protects and corrects the original heart of the pure sky, but also a peaceful action plan to realize an equal society.
    The moral life that Donghak values is an important theoretical basis for social practice. Donghak believes that human beings, who are social beings, should form a desirable community society through their inner awareness. This is because the goal of building an equal society based on Donghak's sense of community is to regard both human-human relations as ‘one body[一體]’. In this way, Donghak's ‘Sincerity’ view, based on the Qi monism(氣一元論), aims to realize that each human being is heaven and lead a life as an equal be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