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이의 기질변화론 고찰 - 장재 수양론과 대조를 중심으로 (A Study on Yi I’s Temperament Change Theory: Focusing on the Contrast with Zhang Zai’s Theory of self-cultivatio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1.09
31P 미리보기
이이의 기질변화론 고찰 - 장재 수양론과 대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45권 / 69 ~ 99페이지
    · 저자명 : 이현선

    초록

    이 논문은 이이(李珥, 1536-1584)의 수양론을 장재(張載) 수양론과 대조하는 가운데, ‘기질변화(氣質變化)’를 중심으로 그의 공부론을 조망하고자 한 것이다. 이이 수양론은 ‘거경(居敬)-궁리(窮理)-역행(力行)’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존 연구는 이러한 이이 수양론이 ‘거경-궁리’의 정주 수양론에 ‘역행’이 더해진 구조로서 그 연속선에서 조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이의 수양론은 ‘지(知)-행(行)’의 구도 속에 ‘경(敬)’ 공부가 각각의 공부에 부가된 형태로 제시되고 있어 정주학의 수양 구도와는 차별적이다. 더구나 이이의 ‘경’ 공부는 그 함의가 정주학과 매우 상이하며, 마음의 ‘허정(虛靜)’을 추구하는 장재의 수양론에 근접한 것이다.
    장재의 기질변화 수양론은 ‘궁리(窮理)’와 ‘집의(集義)’를 두 축으로 삼고 있고, 이는 각각 ‘지’와 ‘행’에 상응하는 공부이다. 그에게서 ‘궁리’가 ‘예(禮)를 배움’으로써 도덕적 기준에 대한 앎을 형성하는 공부라면, ‘집의’는 ‘극기(克己)’와 ‘양기(養氣)’를 통해 ‘선’을 실천하는 공부이다. 장재는 이 공부론을 통해 인간이 자신의 기질을 변화시켜 천지와 동일한 본래의 기의 상태, 곧 태허(太虛)와 동일한 ‘비고 고요한(虛靜)’ 본래적 마음을 회복할 것을 요구한다. 이이는 『성학집요』에서 자신의 수양론을 ‘거경’-‘궁리’-‘역행’의 구도로 제시하면서도, 이를 ‘지-행’의 공부라고 설명한다. 여기에 나타난 그의 ‘경’ 공부는 ‘궁리’를 위한 ‘수렴(收斂)’의 ‘경’공부, ‘역행’의 공부 과정을 관통하는 ‘정심(正心)’의 ‘경’공부로 구분되며, 이는 ‘지’와 ‘행’ 각각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이의 ‘경’공부는 장재와 마찬가지로, 마음을 ‘맑고 고요하게 하는’ 주정(主靜) 공부로 묘사된다. 이것은 인간의 기질적 편향과 마음의 동요를 제어하는 공부로서, 그의 기질변화 공부의 주된 내용을 이루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contrasts Yi I(李珥)’s cultivation theory with Zhang Zai’s cultivation theory, and attempts to view his cultivation theory focusing on ‘temperament change(氣質變化)’. Yi I’s cultivation theory has the structure of ‘Jujing(居敬)-Qiongli(窮理)-Lixing(力行)’. Existing studies have often viewed this theory of Yi I cultivation as a structure in which “Lixing” is added to the theory of “Jujing-Qiongli” and that it is viewed from the continuous line. However, Yi I’s theory of cultiva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Zhuzixue(朱子學) as the study of ‘Jing(敬)’ is presented in the form of an addition to each study in the structure of ‘Knowledge-Practice[知行]’. Moreover, Yi I’s study of ‘Jing’ is very different from Zhuzixue in its implications, and it is close to Zhang Zai’s theory of cultivation, which pursues the ‘Xu-Jing(虛靜)’ of the mind.
    Zhang Zai’s theory of cultivation of temperament change is based on the two pillars of ‘Qiongli(窮理)’ and ‘Jiyi(集義)’, which are corresponding to ‘Knowledge’ and ‘Practice’, respectively. If ‘Qiongli’ is a pursuit that forms knowledge of moral standards by ‘learning Li(禮)’, ‘Jiyi’ is a process that practices ‘good’ through the cultivation of ‘Keji(克己)’ and ‘Yangqi(養氣)’. In this theory, Zhang Zai believes that human beings can change their temperament and restore the original state of Qi equal to heaven and earth, that is, the state of mind equal to that of ‘Great Void[太虛]’. Yi I presents his cultivation theory in the structure of ‘Jujing-Qiongli-Lixing’ in his book called SeonghakJipyo(聖學輯要), but explains it as a cultivation of Knowledge and Practice. His concept of ‘Jing(敬)’ shown here is divided into the study of ‘convergence[收斂]’ for ‘Qiongli’ and the study of ‘Correct Mind[正心]’ that penetrates the process of ‘Lixing(力行)’, which respectively corresponds to ‘Knowledge’ and ‘Practice’. Like Zhang Zai, Yi I’s ‘Jing’ is described as the pursuit of ‘Zhujing(主靜)’, that ‘clears and quiet’ the mind. This is a cultivation that controls human temperamental bias and mental agitation, and constitutes the main content of his cultivation of temperament ch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