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사관 비판론의 등장과 내재적 발전론의 형성 (Emergence of Critical Analyses of Colonial Historiography and Formation of the “Internal Development theor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7.03
38P 미리보기
식민사관 비판론의 등장과 내재적 발전론의 형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25호 / 7 ~ 44페이지
    · 저자명 : 김정인

    초록

    본고에서는 해방과 함께 제기된 반식민사학의 흐름 속에서 식민사관 비판론과 내재적 발전론의 ‘내적’ 기원을 찾는 동시에 1960년대에 양자 간의 연관성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는 곧 내재적 발전론 ‘이후’보다는 ‘이전’과 형성기를 좀 더 면밀하게 살피는 작업에 해당한다. 내재적 발전론의 기원을 해방 정국의 역사학에까지 거슬러 올라가 살핀다는 점, 1960년대 식민사관 비판론과 내재적 발전론 간의 관계를 다룬다는 점에서 본고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식민사관 비판론이 일본인의 식민주의 사관만을 비판한 것이 아니라, 문헌고증사학으로 대표되는 아류와 유산으로서의 식민사학을 극복하고자 제기되었다는 점과 식민사관 비판론과 내재적 발전론을 잇는 매개 고리가 반식민사학인 일제시기 민족주의사학과 마르크스주의사학이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영어초록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Origin’ of two trends: Critical analyses of the occupied Joseon people which were launched against ‘Colonial Historiography,’ and the “Internal Development theory” launched later by Korean historians. The beginning points of these two trends may seem (at first glance) to have been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both trends actually took place at the time of liber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and amidst the surge of Anti-Colonial historiography studies. And these two trends sure interacted with each other in the 1960s, so such interaction is examined in this article as well.
    This is not an analysis of what came after the emergence of the Internal Development theory, but rather of what came ‘before’ it, as the origin itself should be construed within the context of situations (as well as academic efforts in the area of history) that unfolded right after the liberation. And in order to do that right, we should also be well aware of how a series of critical analyses of ‘Colonial Historiography,’ and the eventual advent of “Internal Development theory,” sort of fueled each other for years, to reach their full potential.
    Meanwhile, also stressed in this article is that critical analyses of Colonial historiography did not only criticise the colonial historical perspective shown by the Japanese, but were launched to overcome colonial historical studies done by Korean scholars, which were performed in the name of pursuing “empirical studies (dealing ‘facts’ that could be confirmed by written records).” And most importantly, suggested in this article is that it was the Nationalistic historiography and Marxist historiography, which were both against Colonial historiography, that bridged critical analyses of colonial historiography and the Internal Development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