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錢學森(1911-2009)의 과학기술론과 사회발전론 (Qian Xuesen’s epistemological transform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8.09
30P 미리보기
錢學森(1911-2009)의 과학기술론과 사회발전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史叢(사총) / 95호 / 35 ~ 64페이지
    · 저자명 : 채준형

    초록

    이 논문은 중국의 저명한 과학자 첸쉐썬(1911-2009)의 과학 기술과 그 사회 공학적 응용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인식론적 변화를 검토한다. 냉전이라는 시대적 맥락과 초기 사회주의 체제 하에서 이 저명한 로켓 공학자는 기본적으로 기술 과학은 경제적인 방식으로 생산성 제고라는 사회적 요구에 봉사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냉전기의 과학은 생산성 제고를 위한 국가-사회의 도구로 쓰여질 따름이며 사회 개조 과정 속에서 과학의 적극적 역할은 당-국가의 영도조직에 의한 결심의 문제임을 분명히 하였고 사회 공학적 문제에 대해서는 침묵을 지켰다. 이는 인민의 자발적 의지를 중시한 냉전기 중국 특유의 사회주의 개발 방식이 과학적 연구와 과학 기술의 제도화에 대한 그의 엘리트주의적이고 하향식 접근 방식과 충돌을 빚을 수 있는 가능성 때문이었다. 따라서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그는 정치-사회에 대한 의견 개진은 삼가하고 중국 국방 과학 발전에 자신의 역량을 집중시켰다. 급진적인 정치 운동이 잦아들기 시작한 1970년대 말부터 과학적 시스템을 통한 사회 개조-인구 관리와 사회 공학의 실현-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공개적으로 제기하기 시작하였다. 마크스주의 이데올로기에 기반한 단일한 국가 체제는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플랫폼이 되고 이 플랫폼 위에서 소수의 엘리트들이 시스템 공학을 운용하여 설계한 사회 시스템을 구동시킨다는 구상이었다. 소수의 엘리트 그룹에 의한 사회 시스템 설계 및 구현을 통해 인민과 사회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그의 사회 공학적 관점은 기본적으로 1940년대 이래 꾸준히 발전한 기술 과학과 시스템 과학의 효용성에 대한 믿음에 기반한 것이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Qian Xuesen’s epistemological transform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engineering science and its application to social engineering in the context of cold war China. As a distinguished rocket scientist who also very much captivated by institutionalization of engineering science in the early socialist regime, Qian basically argued that engineering science should serve to social needs to promote productivity in economic ways. His approach to the Scientific Revolutions was quited different from that of Thomas S. Kuhn’s. He insisted that technological knowledge and practice accumulated throughout time—namely normal science—could be valued when it contributes to general innovation. During the period of Great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 Qian focused on his own researches improving Chinese military science. He remained silent on the issue of social engineering. It was mainly due to his elitist and top-down approach to scientific research and institutiona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Elitism coming from his background would be able to make him an easy target for the red fever of the Cultural Revolution. He began to openly state his perspectives on social engineering and population management through scientific system from late 1970s. System engineering had been suggested by him and his fellow scholars as a way for effective socio-economic reform of the country. His elitist idea on social reform had been reflected in his suggestion to organize a overlording planning group for the total makeover of post-Mao Chinese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史叢(사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