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교의식에 나타난 식민지 교육: 현대일본의 ‘국가신도’ 논쟁과 관련하여 (Colonial Education as Seen in the Public School Rituals under Japan’s Rule)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4.12
18P 미리보기
학교의식에 나타난 식민지 교육: 현대일본의 ‘국가신도’ 논쟁과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 25호 / 59 ~ 76페이지
    · 저자명 : 히우라 사토코

    초록

    신사, 신도를 역사적으로 서술하는 연구사의 시점은 오늘날까지 대부분 기독교 및 기독교계 사립학교의 신사참배 강요, 신앙 탄압 문제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식민지에 있어 강요한(받은) 것은 신사참배 뿐 만 아니라 (신사는 그다지 많은 지역에 설립되지 않았다),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보통학교 안에 만들어진 신사를 대신하는 가미다나(神棚)와 가미다나에 모시는 신궁대마, 그리고 교육활동이라는 명목으로 강요한 배례(경례) 등, 폭넓은 강요 또는 폭력장치와 방법에 관한 문제로서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견지에서 종교 강요 문제가 학교교육의 ‘세속성’ (비종교성) 원칙을 배경으로 가시화 되지 못한 채 존재해 왔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애초 일본교육에 있어 학교의례는 ‘국가제사’의 비종교적인 상시형으로, 일본 국내에서 밖에 통용되지 않는 특이한 제도였다. 그러던 것이 1930년대 중반 이후 조선에서, 종교 신앙적 측면이 큰 ‘오하라이’ 등이 공립학교 교육에 침투된다. 원래 신사참배는 ‘기도’ 라는 마음의 행위와 ‘가시와데(拍手=박수)’라는 신체행위가 동시에 포함되는 의례이다. 그러나 조선에서의 ‘황국신민 서사’ 와 같이 ‘목소리를 낸다’, ‘기립한다’ 와 같이 신체 의례적 측면만이 강조되는 방향으로 강화되어, 전시체제의 강화와 더불어 심각성을 더하게 된다. 이는 종교적 측면에서강당에 ‘교에이’를 걸고, 가미다나를 설치하여, 신체의례적 측면에서는 의례규정에 명시도지도 않은 ‘서사’를 순서에 끼워 넣는 임시방편을 택하여 미봉의 끝에 붕괴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현대 일본에서 종교역사 연구는 식민지시기 연구를 중심으로 학교생활 속의 천황숭배 문제등 ‘풀뿌리’ 적인 일상생활 속에 묻혀 있던 문제를 다룸으로써 종교를 폭 넓은 의미에서의 역사적 과제로 다루고자 하는 움직임이 요구되고 있다.

    영어초록

    State-Shinto [Kokka-Shinto] paradigm has long been discussed and reconsidered in modern Japan. One viewpoint is to grasp it restrictively as the term which means the prewar Jinja [Japanese Shrine] system that had been under the administrative control of the Imperial Japan’s government. On the contrary, another viewpoint is to understand this as broad framework, including school history or Imperial Rituals which sustained after WWII. This script stands on the latter viewpoint and tries to reconsider the colonial Korea’s school education.
    The standpoints of extant research on Jinja-Shinto field have mainly focused on the problem of the compulsive shrine visitation and violent oppression toward Christians and their churches in Korea. However, it is not only Christians’ shrine visit that was compelled violently by colonial government or other colonial powers. For instance, Jinja shrine were not always existed all over Korean regional communities. Instead, it is important to review carefully such historical facts that many numbers of substitute equipment, which were made as small and inexpensive Jinja-typed apparatus, were set up in public school all over Korea. By taking a careful look at Imperial Japan’s school system, its textbooks and education methods, we can find some forms of broader compulsion than seen in the extant research.
    When modern Japanese school system had been prepared in Meiji Era in mainland Japan, school rituals were made under the principle of non-religion. But this system could not be applied to colonial schools. In Korean schools, Emperor worship itself could not be understood as non-religion one even if school teachers would insist it as not. Under such situation, not only students’ shrine visit but opportunities to join shrine rituals, which were held not by schools but by shrines, were more and more increased. This went beyond the boundary between non-religion and religion.
    On the one hand, as seen above, religious compulsion was emphasized day by day. But it is not only the form of oppression toward Korean residents. For example, the education method of "Imperial Subjects Oath”, which was forced only in Korea, tried to highlight the aspects of physical move such as saying it in a loud voice or standing upright position, on the other .Primarily Jinja-Sanpai consists of the two aspects at the same time. One is the mental pray and the other is physical clap. In spreading Japanese typed schools, various types of the violent enforcement with strange divergent of those two aspects came with them. When Imperial Japan’s school system, in which Emperor worship was its core, was once introduced and spread in Korea, lots of contradiction and logical impasse were continuously exposed. Japanese Government General cannot choose but respond with temporal expedi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