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칸트 요청론의 정의론적 독해 (Kant's Theory of Postulates from the Perspective of Justi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3.07
31P 미리보기
칸트 요청론의 정의론적 독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113권 / 3호 / 217 ~ 247페이지
    · 저자명 : 이철우

    초록

    칸트의 요청론과 관련하여 쟁점이 되는 물음 중 하나는, 그것이 도덕에 비례하는 행복으로서의 최고선에 함의되어 있는 정의 요구를 퇴색 시키는가 혹은 오히려 강화 내지 완성시켜 주는 것은 아닌가 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논문은, 저 정의 요구는 요청론을 통해 강화 내지 완성된다는 테제를 논변하는 것에 1차적인 목적이 있다. 그러나 필자의 관심에 의거하여 저 테제가 갖는 현재적(aktuell) 의미 역시 ― 결론을 대신하는 것이어서 상세한 논의는 불가능하지만 ― 오늘날 자유주의 정치철학의 분배적 정의론과 관련하여 짧게 논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먼저 저 1차 목적을 위해 다음의 세 가지 테제를 가정하여 논변한다. 첫째, 칸트의 최고선은 좋은 삶의 조화모델이다. 따라서 칸트에게서 도덕에 비례하는행복으로서의 최고선에 함의되어 있는 정의의 개념은 도덕적 자격으로서의 ‘응분’에 가깝지만, 그 원리는 도덕과 행복의 모순도, 차이도, 일치도 아닌, 도덕을 필요조건으로 갖는 조화에 있다. 둘째, 최고선의 필요조건으로서의 도덕적 삶에 도움을 주고 저 삶을 구현하여줄 수 있는 외적인 선들은 칸트에게서 간접적인 의무의 대상이다. 따라서 칸트에게서도 물질적 조건은 조화로서의 정의 요구의 실현을 위한 중요한 반성 대상이다. 셋째, 칸트의 요청론은 행위 주체의 실천적 확신의 문제라는 점에서 경험적 현실 안에서 최고선의 실현 가능성을 위한 자율 도덕의 실재성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다음으로 앞의 세 가지 테제에 근거하여 칸트에게서 요청론의 틀에서 가능한 최고선에 함의되어 있는 정의의 개념과 원리의 현재적 의미를 오늘날 특히 자유주의 정치철학에서 분배적 정의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즉 그것은 한편으로 도덕적 필연성에 따른 응분적 분배 정의에 내재되어 있는 ‘도덕의 법제화의 위험성’을 방지하고, 다른 한편으로 합법적 기대에 근거한 분배 정의에서 ‘무도덕적인 법실증주의의 위험성’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도덕적 기초를 제공할 수있다.

    영어초록

    One of the key questions in relation to Kant's Theory of Postulates is whether these postulates diminish or rather strengthen and complete the Postulates for justice that are entailed in Kant’s notion of the Highest Good as ‘happiness proportional to morality’. Her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t to argue the thesis that the demand of the justice is strengthended and completed through the Theory of Postulates. However, based on my interest, the present meaning of thesis is also briefly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distributive justice in the today’s liberal political philosophy. Accordingly, this paper argues first the following three thesis for the primary purpose: First, Kant's Highest Good is a harmonious model of the good life. Therefore, the concept of justice implied in Kant's Highest Good as ‘happiness proportional to morality’ comes close to the notion of ‘desert’ 'deserving' as a moral qualification, but its basic principle lies in postulating a ‘harmony', not a contradiction, a difference, nor or unity between morality and happiness. Second, the external goods that facilitate the moral life as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Highest Good and that belong to the embodiment of such a life are the objects of indirect duty for Kant.
    Therefore, even for Kant, material conditions are an important subject of reflection for the realization of the demand for justice as harmony. Third, Kant's theory relates to the pracical conviction of the moral agaent, and therefore it further strengthens the reality of an autonomous morality for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the Highest Good in empirical reality.
    To conclude, based on he arguments of the previous three theses, the following thesis will be briefly addressed: For Kant the notion and principle of justice entailed in the framework of the Theory of Postulates can prevent the risks, on the one hand, of a legalization of morality in distributive justice based on moral desert and, on the other hand, the danger of an amoral legal positivism in distributive justice based on legitimate expect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