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질송의 방법론-방법적 실재론과 역사적 방법론 (Method of Etienne Gilson-His methodical realism and historical methodolog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9.04
34P 미리보기
질송의 방법론-방법적 실재론과 역사적 방법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톨릭철학회
    · 수록지 정보 : 가톨릭철학 / 12호 / 67 ~ 100페이지
    · 저자명 : 김정국

    초록

    이 글은 질송의 저서 『토미스트 실재론과 인식 비판』 ,『 방법적
    실재론 』, 『철학적 체험의 통일성』 을 중심으로 그의 방법론을 살펴
    본 것이다.
    전통적 철학하기의 방법이자 질송의 존재의 형이상학에 기본적
    인 방법론은 먼저 “객관적 실재론의 방법”이라 부르는 것으로 사
    물을 보는 그의 기초적 관점과 태도를 말한다. 그는 철학적 방법으
    로서의 이 실재론적 방법론이 ‘유효한 철학’을 설립하기 위해 필수
    적이라 여겼다. 그래서 ‘비판적 실재론’을 ‘사각의 원’처럼 모순된
    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존재가 외부사물뿐 아니라 인식주체에 대
    한 인간인식을 정초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는 어떠한 선험적인
    비판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본다. 실재론적 방법론은 존재를 첫 대
    상이자 최고의 원리로서 놓고 그 명증성 위에 설립하는 방법론이
    며 그것은 우리 사고의 출발점이 항상 사유 자체가 아닌 인식주체
    가 경험한 실재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비판적 실재론
    자들의 인식주체에 대한 논의는 이미 확보된 것에 대해 다시 논란
    을 제기하는 것이라 본 것이다.
    이런 실재론적 방법론을 기초로 한 질송의 두 번째 방법론은
    “역사적 방법론”이라 부르는 것으로 질송에게 ‘철학사가’로서 명성
    을 가져다준 방법론이다. 그의 탐구 초기의 현학적 관심으로 특정
    지어지는 ‘역사편찬적 방법론’에서 출발하여 역사적 사료 해석의
    종합을 시도한 시기를 거쳐 본격적인 철학적 문제에 대한 사변적
    논변으로 발전되는 ‘하나의 철학의 역사’를 찾아간 질송의 방법론
    인 것이다. 이 세 단계의 발전을 통해 질송은 역사주의에 빠지지
    않고 철학사의 현상적 차원을 넘어서는, 그러면서도 역사 안에서
    전진하며 그 안에서 철학적 목표에 도달하는 ‘본질적이고 통일적
    인 종합’을 지향한다. 거기에서 질송은 형이상학적 동물인 인간이
    ‘존재의 형이상학’을 탐구하는 길을 발견한다.
    결국 실재론적 방법론이나 역사적 방법론은 질송에게 모두 그의
    철학적 탐구의 유용한 도구로서의 역할을 했다. 철학은 역사적 귀
    납의 길을 통해 형이상학적 개념이자 초월적 본성을 분별하게 했
    다. 개념들의 역사는 필연성과 일관성에 따라 전진해간다. 질송은
    그의 방법론을 통해 유구한 철학사에서 꾸준히 침몰과 부상을 계
    속해 온 ‘존재의 형이상학’을 드러내고자 하였고 그리스도교 사상
    의 독창성이 그리스도교인인 철학자의 태도에서 찾아 질 뿐 아니
    라 그리스도교에서 유래한 형이상학적 사유 내용에서도 온다는 것
    을 밝혀내려 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present Gilson’s method
    described in his works Le réalisme thomiste et critique de la
    connaissance (Thomist realism and the Critique of knowledge), Le
    réalisme méthodique (Methodical realism), and The Unity of
    Philosophical Experience.
    Gilson’s fundamental method for metaphysics and one of the
    traditional approaches to philosophizing is called “objective realist
    method” and indicates his fundamental view and attitude. He
    thought that it was necessary for developing a valid philosophy to
    accept the realist method as a philosophical method, and
    accordingly, argued that the critical realism was contradictory like ‘a
    quadrate circle’, because it is the being that maps out the human
    recognition on the cognitive subject as well as the external objects.
    In this reason, he thought that no critics a priori could be justified.
    The realist method takes the existence as the primary object and
    the most general principle, and it is built on its evidence. As our
    thinking always starts from the question about empirical things
    rather than thinking itself, the critical realists’ arguments on
    cognitive subject is understood by Gilson as trying to raise
    questions again about what has already been solved.
    The second method called “historical methodology” has made
    him gain the reputation as an philosophical historian. It is
    proceeded from his first period of search for erudite concern,
    characterized by historiographic methodology, by way of the period
    of synthesis of historical interpretations, to research for history of
    the unique philosophy by means of theoretical discussion of
    properly philosophical problems. Through the three-stage development,
    Gilson pursued “the fundamental and united synthesis” where he
    did not stick to historicism but pursued the ideas beyond the
    phenomenical level of the philosophical history, while proceeding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and realizing philosophical goals. By
    doing so, Gilson discovered the way for a human being as a
    metaphysical subject to explore the metaphysics of being.
    Both of Gilson’s realist method and historical methodology
    served as valid instruments for his philosophical research. Philosophy
    continuously distinguishes metaphysical ideas and transcendent
    nature through generalizing the history. The history of ideas
    proceeds according to necessity and consistency. With his methodology
    Gilson intended to highlight the metaphysics of being that has
    continuously repeated the process of emerging and being forgotten
    in the long history of philosophy. What he has tried to do was to
    verify that the novelty of Christian thoughts is found from not
    only the attitude of Christian philosophers but also the contents of
    metaphysical thoughts originated from Christia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톨릭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