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더 피어선의 기독론 루터의 단성론적 기독론과 칼빈의 양성론적 기독론 사이에서 (A. T. Pierson's Christology: In-between Luther's Monophysitic and Calvin's Dyophysitic Christolog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3.02
35P 미리보기
아더 피어선의 기독론 루터의 단성론적 기독론과 칼빈의 양성론적 기독론 사이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피어선신학논단 / 12권 / 1호 / 85 ~ 119페이지
    · 저자명 : 전대경

    초록

    본 소고는 피어선의 기독론을 존재론적 측면에서 다룬다. 피어선의 신학이 전체적으로 루터(Martin Luther, 1483-1546)와 칼빈(John Calvin, 1509-1564)의 신학에 그 뿌리를 철저히 두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피어선 연구자들 사이에 잘 알려져 있다. 논자는 본고에서 단순히 ‘피어선이 루터와 칼빈의 기독론을 철저히 따르고 있다.’는 결론을 먼저 내리고 피어선의 저작들로부터 그 증거들을 몇몇 보임으로써 나의 주장이 옳다고 하며 글을 마무리하고 싶지는 않다. 이유는 그렇게 했을 때에 피어선의 기독론만이 갖는 진위성(genuineness)이 사라지게 되기 때문이다. 피어선의 기독론이 단지 루터와 칼빈의 기독론을 철저히 따르는 데에만 그친다면, 굳이 피어선의 기독론을 볼 필요성도 사라진다. 루터와 칼빈의 기독론만 보면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피어선이 루터와 칼빈 그 누구도 전혀 따르지 않는다.’라고 논자가 주장하고 싶지도 않다. 이렇게 되면, 피어선은 정통신학에서 너무 멀리 떨어진 주장을 하는 사람이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논자는 그 둘 사이에서 씨름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논자는 피어선이 루터와 칼빈의 기독론의 핵심을 철저히 따르지만, 세부적 측면까지 모두 같지는 않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본고 전체의 밑바탕에 깔려 있는 논자의 문제의식은 성육신 이전의 로고스(Christ the Logos)와 성육신하신 그리스도(Christ the Incarnation), 그리고 영화하신 그리스도(Glorified Christ), 이렇게 셋 사이의 존재론적 동일성을 어떻게 적절히 해명할 수 있느냐이다.
    이러한 연구의 정당성을 주장하기 위해 본고는 먼저 피어선의 존재론적 기독론의 핵심이 루터와 칼빈의 기독론과 공약 가능성을 갖는지 여부를 비판적으로 다룬다. 그런 다음, 저명한 신학자들이 루터의 기독론과 칼빈의 기독론 사이에 존재론적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고 인정함을 비판적으로 다룬다. 그런 다음, 루터의 기독론이 유티키안적 단성론으로 기우는지를 루터의 작품들로부터 확인한다. 그런 다음, 칼빈의 기독론이 네스토리안적 양성론으로 치우치는지를 칼빈의 작품들로부터 확인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피어선의 기독론이 이 둘 사이의 어디에 위치하며 피어선의 기독론이 갖는 진위성이 어떤 형이상학적 정당성을 갖는지를 다룬다. 아울러 논자는 피어선의 기독론이 갖는 잠재적 약점에 대한 신학적 보완이 루터의 기독론이나 칼빈의 기독론의 단점들을 극복할 뿐 아니라 이 셋의 공약 불가능성을 공약 가능성으로 만들어 줄 수 있음을 보인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eals with ontological aspects of A. T. Pierson's Christology. Generally speaking, it is well known fact among Pierson researchers that Pierson place his theological roots deep inside the ground of Martin Luther and John Calvin. In this article, the writer does not want to simply conclude that “Pierson thoroughly follows Christology of Luther and Calvin” and say that the thesis is truthful by giving few proofs from Pierson's writings. It is because, by doing so, the genuineness of Pierson's Christology disappears. If Pierson's Christology merely follows Luther and Calvin's Christology thoroughly, then there is no need of taking a look at Pierson's Christology. It is because we could simply take a look at only Luther's and Calvin's Christology. The writer, however, does not want to argue that Pierson follows neither Luther nor Calvin. If so, Pierson becomes a theologian who argues a Christology too far from the mainstream of the Christian orthodoxy. The writer tries to wrestle between these two. In other words, the writer argues that while Pierson follows the core of Luther's and Calvin's Christology thoroughly specific aspects are not all the same. The problematic theme in question that underlies at the bottom of this entire paper is that how to elucidate the ontological identity legitimately throughout these three: Christ the Logos, Christ the Incarnation, and Christ the Glorified To clarify the legitimacy of this research, this article first critically deals with the core of Pierson's ontological Christology if it is commensurable with Luther and Calvin's. Secondly, it is critically dealt that well known theologians approve that there are the differences between Luther's and Calvin's Christology in ontological aspects. Thirdly, it is confirmed with Luther's works if Luther's Christology has inclination to Eutychian monophysitism. Fourthly, it is validated with Calvin's works if Calvin's Christology is inclined to Nestorian dyophisitism. Lastly, it is dealt where Pierson's Christology stands in-between Luther's and Calvin's and what metaphysical legitimacy the genuineness of Pierson's Christology would have. In addition to this, the writer argues that the theological revisioning to the potential weaknesses in Pierson's Christology must not only overcome the drawbacks of both in Luther's and Calvin's Christology but also transform the incommensurability of these three into a commensura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