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刊經都監 간행 法藏의 『大乘起信論疏』 敎藏本의 서지적 분석 (Bibliographical Analysis of Fazang's 『Dashengqixinlunshu (大乘起信論疏; Commentary on the Awakening of Faith』 Published in GanGyeongDoGam)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1.03
30P 미리보기
刊經都監 간행 法藏의 『大乘起信論疏』 敎藏本의 서지적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94호 / 9 ~ 38페이지
    · 저자명 : 남권희

    초록

    이 연구는 조선시대 刊經都監에서 1461년에 간행하였던 『大乘起信論』에 대한 法藏의 주석서인 『大乘起信論疏』 3권에 대하여 서지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刊經都監 간행의 法藏疏인 『大乘起信論疏』는 3권 3책이나 원래 한 책에서 분리된 것이며 세조 당시의 지질인 고정지와 인쇄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각 권 말미의 서사자 기록은 모두 兵曹 출신으로 상권은 辛福聃, 중권은 朴儁, 하권은 李濬가 나누어 썼고 서체는 유사하지만 개별글자에서는 각권 마다 異體字가 사용되어 각자의 특징을 보인다. 하권 말에 수록된 교감자는 관리인 盧思愼, 소요사의 海超, 흥덕사의 雪峻이 참여하였고 이들은 같은 시기인 『金剛錍顯性錄』에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이 책의 본문을 疏와 義記를 대조하여 교감해본 결과 通假字, 誤字, 脫字, 衍文, 倒置의 현상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었고 이는 저본의 전승된 판본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 수록범위는 고려 13세기 목판본 義記와 비교해본 결과 형식적으로는 각각 3권이나 중권, 하권의 수록범위가 달라져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처음 소개되는 法藏의 『大乘起信論疏』 3권은 의천 敎藏總錄에도 수록된 것으로 비록 조선시대 15세기의 판본이지만 고려 교장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고려 시기의 내용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상권과 중,하권의 저자 사항이 달라져 있고 내용 중의 異字가 많지만 교감자가 제시된 점으로 미루어 필사시의 오류보다는 유통된 저본의 채택상의 차이 등 여러 측면의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bibliographically explores 『Dashengqixinlunshu (大乘起信論疏)』, a commentary annotated by a Buddhist monk named Fazang. As a widely-recognized basic scripture in the East Asian Buddhism community, the commentary was written based on 『Dashengqixinlun (大乘起信論)』, which includes core ideological positions of Mahayana Buddhism and comprehensive literature of various Buddhism doctrines.
    The subject scripture is a woodblock edition printed in GanGyeongDoGam (刊經都監)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世祖) of the Joseon Dynasty and it is revealed to the public for the first time through this study.
    The scripture consists of three books in three volumes and the specific period of publication indicates as 1461 in woodblock edition. The very last parts of each book records the names of transcribers as follows: the first volume was recorded by Shin Bok-dam, the second volume with Park Jun and the third volume with Lee Jun. In the last part of the book, there are records of Noh Sa-shin, a manager in charge of review of the book from the central government, Hae Cho, a Chief Buddhist monk at Soyo Temple and Seol Jun, a abbot at Heungdeok Temple.
    This edition has been recogniz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presumed to have been included in the ‘Gyojang (敎藏)’ of Goryeo. Later in Joseon Dynasty, it is assumed that the edition was recarved based on the edition of Goryeo in GanGyeongDoGa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