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내선일체론의 역사교육 적용 (A Study on Applying ‘Japan and Korea are One’ Theory(內鮮一體論) to History Teaching)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4.11
37P 미리보기
내선일체론의 역사교육 적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교육연구 / 20호 / 315 ~ 351페이지
    · 저자명 : 김한종

    초록

    1930년대 후반 본격적으로 제기된 내선일체론은 조선총독부의 시정방침이었을 뿐 아니라 학교교육의 원리였다. 내선일체의 논리가 잘 반영된 교과 중 하나는 국사였다. 이 글은 내선일체론이 국사교육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교육과정과 내용, 교수학습방법의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내선일체론은 조선인과 일본인이 일본 國體의 本義로 하나가 된다는 의미였다. 국체를 유지해온 것이 황실이므로, 국체의 본의를 깨닫는 것은 천황의 聖業을 아는 것을 통해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肇國의 유래, 황실의 위업 등이 국사교육의 내용으로 강조되었다.
    국사교육은 지식교육뿐 아니라 정신교육이었으며, 내선일체론은 이해를 넘어서 몸으로 체득해서 실천해야 하는 논리였다. 이해와 실천은 내선일체론의 두 측면이면서 통합된 하나였다. 이해해야 할 것은 국사(일본사)의 大要였으며, 실천해야 할 것은 ‘國體의 존엄한 所以’였다.
    개정된 『초등국사』 교과서에서는 조선을 독립적으로 서술하는 단원이 사라지고 내용이 일본사와 통합되었다. 그러나 한일관계사 서술은 오히려 늘어났다. 일본의 한국 정벌이나 우위를 서술하는 내용이 줄어든 대신 두 나라의 교류나 우호관계를 쓰는데 비중을 두었다. 4년제 심상소학교 역사교과서로 새로 간행된 『국사지리』의 서술에서는 이런 관점이 더욱 뚜렷했다.
    국사교육의 방법으로는 정신교육, 직관교편물의 이용, 다른 교과와의 연계교육 등을 권장하였다. 국체를 아는 것과 국민으로서 정조를 가지는 것은 국사교육의 양면이었다. 국사학습에서 체험을 통한 국민적 정서의 함양이 강조되었다. 독일 철학자인 딜타이의 이해 논리를 차용한 것도 이를 위한 것이었다.

    영어초록

    ‘Japan and Korea are One’ theory, which was officially declared by Governor-General of Korea in the late 1930s, was the principle of school education as well as the administrative policy. The subject, in which ‘Japan and Korea are One’ theory was well reflected, was history education. This study researched how ‘Japan and Korea are One’ theory was applied to history education during late 1930s and early 1940s from the aspects of national curriculum, history subject matters an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Japan and Korea are One’ theory was the principle that colonial Korean and Japanese were unified with the real meaning of Japanese national body(國體). It was argued to know sacred achievements of Japanese emperors to realize the real meaning of Japanese national body because Japanese imperial family had preserved it. The origin of founding Japanese, great achievements of imperial family and so on were stressed to be main subject matters in history teaching.
    National history(Japanese history) teaching was not just knowledge education but spirit education, and ‘Japan and Korea are One’ theory was an argument that Korean and Japanese should internalize one nation people beyond understanding. Understanding and practice were both two elements and integrated one of ‘Japan and Korea are One’. What people should understand was the essential outline of National history(Japanese history), while what practicing was Japanese national body's holy reason.
    Any independent Korean history units disappeared in the revised Elementary National History(『初等國史』), and their contents were integrated in Japanese history units. But Korea and Japan relative history was described more in Elementary National History than Primary School National History(『普通學校國史』). Contents on Japan's conquering Korea were decreased, while interchanging and friendly relationship of both countries were increased. Such the trends were strengthened in National History and Geography(『國史地理』) published for a four-year course ordinary elementary school(尋常小學校) children.
    Spirit training, the utilization of intuitive teaching aids and the interrelating with other subjects teaching were recommended to teach national history for cultivating nation people to know Japanese national body and to have Japanese spiritual purity. Fostering nation's emotion through reliving historical facts was emphasized in national history learning. Understanding theory argued by Dilthey, German philosopher, was discussed on this purpo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