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종조 ‘남녀상열론(男女相悅論)’의 의미와 양상 (The Meaning and Aspects of the Theory of ‘Namnyeosangyeollon(남녀상열론)’ during Sungjong (成宗)'s Reign)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0.05
20P 미리보기
성종조 ‘남녀상열론(男女相悅論)’의 의미와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문화연구 / 32권 / 203 ~ 222페이지
    · 저자명 : 하경숙

    초록

    성종(成宗)대는 조선이 유교 사회로서 안정되어가던 시기였다. 여러 차례의 수정을 거친 <경국대전>이 성종대에 이르러 비로소 완성된 형태를 갖추었음도 불구하고, 이 시기가 유교 이념에 입각한 통치 질서의 확립에 기점이 되는 시기라는 것을 보여주는 단서이기도 하다. ‘남녀상열지사’의 의미는 단순히 유교적 상황에 부합하는 이성간의 음란한 애정의 문제에 집중한 것이 아니라 언어, 정치, 사회상, 음악적 적합성 등 다각도로 논의되고 분석해야 한다는 사실을 찾을 수 있다.
    성종은 악(樂)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음률을 깨우친 관리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악보는 전조의 것을 수용하고 가사만 바꾸었다는 사실을 상기한다면 조선 초기에 제기되었던 남녀상열 시비의 대상은 가사, 즉 시에 국한되었던 것으로 보는 경향도 있지만, ‘남녀상열’에 대한 논의는 선초 악장 창작시기보다 후대에 일어난 것이기 때문에 시비의 대상이 ‘가사’에 국한된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본고에서는 ‘남녀상열지사’의 본래의 출현에 중점을 두고 서술하고자 하였다.
    특히 ‘남녀상열론’이 단순히 남녀의 음란한 이야기가 아니라 현실의 정치와 음악, 음악을 통한 정치적 연계, 예와 관계를 나타낸 점에 의미를 두고 있다. 남녀상열론의 출현은 가사의 저열함을 지칭하기 보다는 이속(俚俗)의 풍습이 궁중례에 남아있음을 의식한 것이다. 이를 통해 성종의 인식 변화와 세계관을 살필 수 있었다. 성종은 음악이 지닌 효용성과 긍정적 의미에 대해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성종은 예(禮)와 악(樂)의 균형적인 정비가 이루어짐으로써, 조선전기 음악문화의 전성기를 맞이할 수 있게 되었다.

    영어초록

    The reign of King Seongjong was a time when Joseon became stable as a Confucian society. Despite the fact that "Gyeongguk Daejeon(경국대전)," which had been revised several times, was completed only after the time of King Seongjong's reign, it is also a clue that shows that this period is the starting point for the establishment of a ruling order based on Confucian ideology. It can be found that the meaning of the "Namnyeosangyeoljisa(男女相悅之詞)" should be discussed and analyzed in various ways, including language, politics, social and musical suitability, rather than simply focusing on the problem of lewd affection between the opposite sex that conforms to the Confucian situation.
    King Seongjo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fostering management who learned the notes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k(樂). Recalling the fact that the music sheet was used to accommodate the ancestral rites and only changed the lyrics,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subject of the dispute between Namnyeosangyeol(男女相悅), which was rais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limited to the lyrics, or poetry.
    Since the discussion of the male-female hierarchy took place in later generations rather than in the period of creation of the first movement,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e subject of the dispute is limited to the lyrics.In this book, we wanted to focus on the original appearance of the "Namnyeosangyeol(男女相悅)". In the discussion of the male and female ranks took place in later generations rather than in the period of the creation of the movemen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e subject of the dispute was limited to "Gasa(가사)." In this study, we wanted to focus on the original appearance of the ''Namnyeosangyeol(男女相悅)''.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that "Namnyeosangyeollon(남녀상열론)" is not just a lewd story of men and women, but rather a representation of the politics of reality, political links through music, and examples and relationships. Rather than referring to the vulgarity of the lyrics, the emergence of "the theory of succession" was conscious of the fact that the custom of "the succession" remained at the royal feast.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examine the changes in Sungjong's perception and worldview. Sungjong actively tried to utilize the musical's usefulness and positive meaning. With the balanced readjustment of manners and music, King Seongjong was able to reach the peak of the music culture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