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退溪의 道統論과 그 의미 (Study on Toegye(退溪)’s Dotongron(道統論) and the Significa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5.12
25P 미리보기
退溪의 道統論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17호 / 49 ~ 73페이지
    · 저자명 : 송희준

    초록

    유교의 道統論은 孔子와 孟子에서 시작되었으며 宋代 道學의 성립과 더불어 확립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退溪 시대 이전에 鄭夢周―吉再―金叔滋―金宗直―金宏弼―趙光祖로 이어지는 도통론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퇴계는 이 도통론에 대하여 다소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으니, 정몽주는 절의에 뛰어났을 뿐이고 김종직은 문장을 숭상한 사람이지 도학을 한 사람은 아니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小學』을 중시하면서 爲己之學을 몸소 실천한 김굉필에 대하여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고, 조광조는 그의 제자가 되어 그의 도를 이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김굉필과 조광조에 대하여도 퇴계는 성리학적 저술이 없다는 이유로 끝내 도통의 자리매김에 선뜻 나서지 않는다. 그러나 李彦迪은 마음의 수양인 尊德性과 성리학적 저술인 道問學을 모두 갖추고 있는 도학자라고 하면서 우리나라에서 진정한 도학의 출발점이라고 하였으니, 이언적의 이런 도학적 학문 성격은 바로 퇴계 자신의 도학적 학문 성격을 대변하는 것이다.
    퇴계는 「屛銘」과 「聖賢道學淵源」에서 도통의 성격과 내용을 밝히고 있다. 그것은 존덕성과 도문학을 결합하는 敬工夫論이니, 이것은 존덕성과 靜의 사상을 주장한 李延平과 도문학과 動의 사상을 주장한 張南軒의 학문을 종합하여 이루고자 한 성과라고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퇴계의 경공부론은 『心經』을 통한 心學의 강조를 보면 도문학보다는 존덕성 부분에 좀 더 무게 중심을 두고 있다.

    영어초록

    Confucian Dotongron(道統論) began from Confucius(孔子) and Mencius(孟子)에, which was established along with the creation of Song dynasty(宋代) moral philosophy(道學). In Korea, Dotongron was formed, connected with Jeong, mongju(鄭夢周)―Guiljae(吉再)―Kim, sookja(金叔滋)―Kim, jongjik(金宗直)―Kim, gwengpil(金宏弼)―Jo, gwangjo(趙光祖) before Toegye(退溪) period. However, Toegye had somewhat negative idea about this Dotongron, regarding that Jeong, mongju was merely excellent in fidelity and Kim, jongjik was a person who respected sentences, not moral philosophy. However, he newly recognized Kim, gwengpil, who personally practiced Wigijihak(爲己之學) highly regarding 『Sohak(小學)』, also, Jo, gwangjo was said to be his pupil and succeeded his ideology. However, Toegye eventually did not willingly appear in the foundation of Dotong with the reason regarding Kim, gwengpil and Jo, gwangjo had no writings of neo-Confucianism. However, he regarded Lee, eonjeok(李彦迪) as a Do scholar who prepared both Jondeokseong(尊德性: raised virtue), cultivation of mind, and Domunhak(道問學: researching study), neo-Confucian writing, that he was the beginning of true Dohak of Korea, this Dohak characteristic of Lee, eonjeok represented Toegye's own Dohak character.
    Toegye determines the character and content of Dotong in 「Byeongmyeong(屛銘)」and 「Seonghyeondohagyeonwon(聖賢道學淵源)」. That was Gyeonggongburon(敬工夫論) which combined Jondeokseong and Domunhak,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an achievement that intended to achieve by combining Lee, yeonpyeong(李延平), who insisted Jondeokseong and idea of Jeong(靜) and Jang, namheon(張南軒)'s study that insisted Domunhak and the idea of Dong(動). However, Toegye's Gyeonggongburon focused more on Jondeokseong rather than Domunhak, considering his emphasis on Simhak(心學) through 『Simgyeong(心經)』.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