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앙드레 말로의 반회고록과 메타픽션 (La métafictionnalité des Antimémoires d'André Malraux)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0.11
18P 미리보기
앙드레 말로의 반회고록과 메타픽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프랑스학논집 / 72권 / 301 ~ 318페이지
    · 저자명 : 서명숙

    초록

    앙드레 말로의 반회고록은 1967년에 갈리마르 사에서 초판이 나온 이래, 1972 년에 개정판이, 1976년에 결정판이 발표된다. 초판과 개정판에서 작가는 총5부로 구성된 반회고록의 각 부에 자신의 소설 제목을 부여하고 있다. 그는 자전적 텍스트에 실제 내용과 직접적 연관이 없는 소설 제목들을 붙이는 것과 더불어, 자신의 기존 소설에서 상당 부분을 발췌해 재수록하기도 했다. 비록 부분적인 수정을 거치기는 했으나 이렇게 재수록된 분량은 작품 전체의 10%를 상회한다. “미지의 세계 앞에서 때로 우리의 꿈은 추억 못지않은 의미를 갖는다.”는 언급과 함께, 회고록의 틀 안으로 픽션의 세계를 끌어들이고 있는 이 모호한 장르를 작가는 <anti- mémoires> 라는 이름으로 정당화하고 있다.
    말로의 작품에서 이와 같은 재수록reprise의 예는 그다지 새로운 것도, 드문 것도 아니지만, 다시쓰기réécriture라면 경우가 다르다. “나는 소설을 다시 쓰는 편이 아니다.”고 잘라 말했던 말로가 반회고록의 제4부에서 시도한 다시쓰기에 우리는 주목하고자 한다.
    반회고록초판의 제4부-「왕성의 길」-는 여러 가지 면에서 이질적이다. 인간의 조건의 등장인물 가운데에서 가장 독특한 캐릭터인 클라픽남작 baron de Clappique이 「왕성의 길」이라는 제목 하에 재등장하는가 하면, 말로의 미완성 소설 마의 왕국Le Règne du Malin은 클라픽이 창작한 시나리오인 것으로 소개된다. 그리고, 클라픽이 문화부 장관 앙드레 말로의 평가를 요청하며 시나리오를 읽어가는 과정이 제4부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즉, 반회고록 가운데 「왕성의 길」은, 허구의 인물을 역사적 인물 속에 편입시킨 다음, 그 인물을 통해 기존의 미완성 소설을 객관적으로 응시하면서 다시 써내려가는 작가의 글쓰기 과정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지금부터 『반회고록』에 나타난 다시쓰기의 기법과 관련하여, ‘어떻게?’ 뿐만 아니라 ‘왜?’에 대한 대답까지도 구해 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미완성 소설은마의 왕국으로, 반회고록 초판의 제4부는 반회고록으로 구분하면서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Le Règne du Malin, probablement ébauché en même temps que La Voie royale, est un roman inachevé et inédit d'André Malraux. L'auteur réécrit et encadre son ouvrage longtemps négligé dans la 4e partie des Antimémoires, intitulée La Voie royale. Ainsi, Le Règne du Malin voit le jour sous forme d'un scénario récité par Clappique, personnage mythomane de La Condition humaine.
    La différence entre Le Règne du Malin et Antimémoires ne réside pas dans leurs histoires mais dans leurs techniques narratives. Dans la présente étude, nous voulons donc comparer la stratégie narrative de l'écriture du Règne du Malin avec celle de la réécriture des Antimémoires dans le but de démontrer la métafictionnalité de ce dernier.
    Le schéma des Antimémoires est le suivant : le texte commence par un récit premier, dans lequel le je-narrateur raconte sa rencontre avec Clappique. Celui-ci lui présente son scénario, et le texte revient au récit premier, à savoir, le récit second est encadré dans le premier. Le narrateur du second devient donc un personnage du premier et son acte de narration est un événement raconté dans le premier. Ce caractère nous amène à distinguer une différence des niveaux narratifs de ces récits. Si nous interprétons la narration des Antimémoires selon la définition de Genette en la matière, la narration du je-narrateur est un acte extradiégétique; les événements racontés, dont l'acte narratif de Clappique, sont diégétiques ou intradiégétiques; les événements racontés dans le récit de Clappique sont métadiégétiques.
    Alors, le passage d'un niveau narratif à l'autre ne peut être, en principe, assuré par la narration, acte qui consiste à introduire, dans une situation donnée, la connaissance d'une autre situation. Toute autre forme de transit est transgressive. Cependant, nous pouvons démontrer, dans Antimémoires, de nombreuses interventions intempestives du je-narrateur dans le récit premier et également celles de Clappique dans le récit second. Genette définit toutes ces transgressions comme une métalepse narrative.
    Tous ces jeux sur les franchissements de niveaux narratifs détruisent la frontière entre le monde où l'on raconte et celui que l'on raconte. Et cela nous amène à un questionnement sur la vraisemblance de la représentation du récit. Nous pourrons ainsi voir de plus près que, si l'écriture du Règne du Malin met l'accent sur la réalité en utilisant les procédés traditionnels de la création d'une illusion, les Antimémoires la subvertit en dévoilant ouvertement le processus de la construction d'une fiction.
    Nous pouvons également remarquer, dans Antimémoires, une autre forme d'intrusion du je-narrateur dans l'univers diégétique : le je- narrateur élimine le relais diégétique et énonce directement le récit second. Cette narration pseudo-diégétique fait en quelque sorte l'économie d'un niveau narratif. On trouve ainsi dans la deuxième partie du texte les événements omis dans Le Règne du Malin. La figure pseudo-diégétique concentrée sur cette partie suggère plutôt la présence de l'auteur lui- même, qui est en train de créer une fiction.
    En effet, la situation narrative d'un récit fictif n'est pas identique avec sa situation d'écriture. Ce n'est ni Clappique, ni le je-narrateur mais André Malraux lui-même qui désire justifier son abandon du Règne du Malin et dévoiler au lecteur le fonctionnement de tout texte de fiction pour démonter toute illusion. Il nous semble donc qu'il n'est plus besoin d'expliquer longuement pour prouver la métafictionnalité dans la réécriture des Antimémoires : jeux sur les métalepses, jeux entre narrateur et narrataire, et refus d'escamoter l'illusion, et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프랑스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