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혼종 식민성(Hybrid coloniality): 탈식민주의로 바라본 한국의 외교안보정책 (Hybrid coloniality: Questioning South Korea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from postcolonial theory)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0.03
55P 미리보기
혼종 식민성(Hybrid coloniality): 탈식민주의로 바라본 한국의 외교안보정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정치논총 / 60권 / 1호 / 7 ~ 61페이지
    · 저자명 : 은용수

    초록

    본고는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라는 이론적 시각을 통해 한국의 탈식민 역사과정에서 발생한 국제정치적 사건들과 한국정부의 대응이 한국외교안보(정책)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식민성”(coloniality)이라는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위해 우선 탈식민주의 이론은 무엇이며 어떤 시사점을 함축하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은 탈식민 과정에서 물리적이고 인식적인 측면에서 식민성이 생성되는 역사적 경로를 걷게 되었음을 논한다. 특히 1950년대, 미소의 글로벌한 균열구조로써의 냉전이 동아시아라는 지역적 맥락을 거치고 이것이 한반도의 민족적 경험과 한국의 국내정치적 이해관계로 다시 한번 필터링 되면서 식민성은 혼종된(hybrid) 형태로 내면화 되고 한국의 외교안보영역에 배태되었음을 상술한다.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혼종 식민성’의 발생기원이면서 지금까지도 작동하고 있는 한반도 냉전의 물리적 기제인 정전협정이 평화협정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그러나 본고는 이와 함께 ‘인식적’ 측면에서의 주체성 회복이 혼종 식민성 극복에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최근 주목받고 있는 “글로벌 국제관계학”(Global IR)과 “버내큘러”(vernacular) 안보의 지역비교연구를 연구프로그램으로써 제언한다. 부족하나마 본고의 분석과 제언, 특히 ‘혼종 식민성’이라는 개념과 “버내큘러” 안보라는 연구프로그램이 한국외교안보의 (탈)식민성에 관한 학술적 논쟁을 촉발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영어초록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this article examines the postcolonialsing processes of Korea since its liberation in 1945 and takes a close look at the ramifications of the international events at that time, such as the 1945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1951 San Francisco Peace Treaty, and the 1950-1953 Korean War, for South Korea’s foreign and security policy thinking and behaviour in the postwar period. In doing so, the article shows that how “coloniality” has been embedded in South Korea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thinking and behaviour in its postcolonialising processes. To elucidate this point, the article first discusses postcolonialism theory explicating its manifold meanings and implications. Based on this theoretical discussion, the article notes that Korea’s liberation did not lead to restoring postcolonial subjectivity in the realms of foreign affairs and national security. Rather, coloniality at both material and socio-epistemic levels remains deeply entrenched in Korea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thinking and practice. This is mainly due to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political events that Korea has gone through since its 1945 liberation, especially during the cold war period. More specifically, the cold war, as a structural divide at the global level, unfolded in a very different manner in Asia as compared with Europe, which has resulted in a US-Japanese centered regional security system of anti-communism. This system was, once again, consolidated through the Korean War, and then filtered into the domestic politics of South Korea ruled by military dictatorial regimes, who were seeking their political legitimacy from American recognition or approval. Ultimately, the combination of these global, regional, and domestic dynamics has brought about a ‘hybrid’ coloniality to South Korea’s external behaviour. The problem is this ‘hybrid’ coloniality in which South Korea for itself contemplates its foreign policy actions and makes moral judges about those actions either on the basis of ‘American’ positions and values or within the context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US remains prevalent even after the collapse of the (global) cold war system in 1990. How to overcome this? As postcolonialism theory points out, the ways to address a hybrid coloniality should be met with the processes of emancipation from the coloniality of episteme/knowledge; and these emancipation processes ought to point toward pluralism in making truth claims and recognising diverse subjectivities and modernities. Considering this, the article offers pathways to overcome South Korea’s hybrid coloniality by building on and expanding the insights of “Global IR” and the emerging field of “vernacular” security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