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19세기 한국 풍속화로 본 신분계층별 놀이문화 양상 (A Study on the Play Culture aspects by Social Classe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of Korea Genre Painting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4.11
30P 미리보기
18~19세기 한국 풍속화로 본 신분계층별 놀이문화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65호 / 251 ~ 280페이지
    · 저자명 : 강옥희

    초록

    본고는 근세기 한국 풍속화에 나타난 놀이도구가 있는 놀이문화 양상을 신분 계층별로 분류하여 분석해 본 것이다. 특히 조선 후기 중인 출신 화가였던 金弘道(1745-?)와 申潤福(1758-?), 구한말 개항기에 활동했던 金俊根(1853년 전후~?) 등의 작품을 통해 전통 놀이의 전승과 변화, 놀이 성격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조선조에 신분계급과 성별에 따라 구분되던 놀이문화는 시대적 상황과 시대정신이 반영되어 전승 발전하거나 변화한다. 근세기(18~19세기) 놀이문화 양상의 특징은 화가의 주체 의식에 따라 서민의 놀이상을 실상 위주로 그린 서민층 풍속화가 활성화되고, 사대부의 고상한 놀이문화 이외에 유흥문화 실상을 해학적․비판적으로 그린 양반층 풍속화가 제각기 존재했다. 특히 구한말 화가 김준근은 주로 서민층 풍속을 주제로 다양한 놀이상을 서구인의 요구에 부응하는 실상 위주 수출용 그림을 많이 그렸다.
    근세기 이후 전통놀이문화에 대한 인식도 새로워지고, 오늘날까지 전승되어 지속적으로 변화 발전해 온 것도 있고 부분적으로 남아있거나 사라진 것도 있다. 이런 점을 Ⅱ장에서는 당시 풍속화에 나타난 양반 계층 놀이문화의 양상을 놀이문화의 성격에 따라 尙武적, 隱逸적, 神仙적, 賭博적, 競爭적, 敎育적 놀이문화로 분류하였고, Ⅲ장에서는 서민 계층 놀이문화의 양상을 놀이문화의 성격에 따라 남성 戰鬪적, 여성 競爭적, 娛樂적, 諧謔적 놀이문화로 분류하여 비교하고 현재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depictions of the folk recreation culture with toys and games shown in 18th and 19th century Korean genre paintings by categorizing them into different social classes.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the works of Kim Hong-do (1745-?) and Shin Yun-bok (1758-?), who were typical jung-in (middle-class) paint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Kim Jun-geun (circa 1853-?) and others, who was a commercial painter for export during the port opening period with a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nsmission, change, and playfulness the traditional games and toys.
    The folk recreation culture, which had been distinguished by social class and gender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passed down, developed, or changed by reflecting the situations and spirit of the times. The folk recreation culture of the early modern period (18th-19th centuries) is characterized by the emergence of genre paintings focused on the actual recreational activities of the common people, reflecting the consciousness of the artists, as well as genre paintings on the nobility’s refined leisure activities, which humorously and critically depicted their reality of the entertainment culture of the nobility. Especially Kim Jun-geun, a painter of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produced many realistic, export-oriented paintings featuring various forms of common people's recreational activities, catering to the demands of Western audiences.
    After the Late Joseon Dynasty, people began to have a renewed perception of the traditional folk recreation culture; some of it has been passed down to this day and has continuously changed and developed, while others have partially remained or disappeared. Through genre painting at the time, in Chapter II of this paper, we looked into the aspects of the play culture of the nobility depicted in genre paintings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activities, by categorizing them into the martial, reclusive, Taoist hermit-like, gambling, competitive, or educational. In Chapter III, the aspects of the play culture of the common people were classified into male militant, female competitive, recreational, and humorous play cultures according to the nature of play culture, and their contemporary significance was explo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