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족으로서의 반려동물의 의미와 반려동물로 인한 구별 짓기 (The Meaning of Companion Animals as a Family and Differentiation Due to Companion Animals)

6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7.07
67P 미리보기
가족으로서의 반려동물의 의미와 반려동물로 인한 구별 짓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인류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화인류학 / 50권 / 2호 / 337 ~ 403페이지
    · 저자명 : 이용숙

    초록

    반려동물에게 부여하는 의미와 반려동물이 키우는 사람 및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 본 연구에서는 26명이 실시한 참여관찰과 66명 대상 심층면담, 200명 대상 서술형 설문조사를 통하여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 대다수가 반려동물을 ’가족‘이나 ’가족 같은친구/단짝친구 같은 가족‘으로 여김을 발견하였다. 특히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늦둥이 막내’라고 할 수 있는 반려동물을 위해서 사람들은 많은 애정, 시간, 비용을 쏟아 부었다. 반려동물이 스스로에게 가져온 변화로서는 긍정적인 방향의 ‘감정의 변화’와 ‘성격/태도의 변화’ 를 가장 많이 언급했다.
    반려동물 키우기의 단점으로는 위생문제와 비용운제, 청결문제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는데, 이는 가족 간의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반려동물을 돌보기 위한 역할분담에서는사회문화적 맥락 속 ‘어머니’의 위치가 반영되고 있었다. 즉 반려동물을 돌보는 일은 종종‘어머니’에게 전가되고, '아버지‘와 ’자녀들’은 ’반려동물과 함께 노는 일‘을 ’반려동물을 돌보는 일‘보다 많이 하면서 지냈다. 반려동물을 둘러싼 가족 간의 갈등으로는 아버지와 다른 가족의 대립이 가장 많았다. 특히 반려동물과 관련된 아버지의 강한 부정적 감정표출에 대한대응전략으로는 ‘감추기’가 가장 자주 나타났다.
    반려동물은 가족 간의 위계와 자신에 대한 애정표현의 정도라는 두 가지 기준으로 가족구성원을 서열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따라 자신에 대한 애정 정도는 ‘어머니’보다 못하지만 집안에서 가장 ‘권위’가 있는 ‘아버지’에게 가장 높은 서열을 부여하는 경우가 많았다. 즉부르면 가장 먼저 간다거나 애교를 부리는 것으로 서열 인정의 표시를 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은 안 키우는 사람보다는 키우는 사람을 훨씬 더 긍정적으로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한편으로는 자신의 반려동물이 얼마나 예쁜지/잘 따르는지/훈련이 잘 되었는지를 자랑하는 방식으로, 또 한 편으로는다른 사람이 반려동물을 키우는 방법을 비판하는 방식으로 ‘구별 짓기’(차별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작은 개를 키우는 사람들은 대형견 키우는 사람을 차별화하기도 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for the companion animal as a family and the effect of the companion animal on the owner and his/her family relationship.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narrative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found that the companion animals tend to be regarded as ‘family’ or ‘family–like friend’. Especially, for the companion animals that can be called the “youngest child”, which is the most loved, people poured a lot of affection, time and money.
    The changes of themselves brought by the companion animals were most often referred to as ‘changes in emotions’ and ‘changes in personality/ attitudes’ in a positive direction. The disadvantages of bringing up companion animals were most often referred to hygiene, cost, and cleanliness, which are the causes of family conflicts. In the division of roles for care of companion animals, the position of ‘mother‘ in socio–cultural context was reflected. In other words, caring for companion animals is often transferred to ‘mother’, while ‘father’ and ‘children‘ have more ‘playing with companion animals’ than ’caring for companion animals’. Conflicts among family members surrounding the companion animal showed the most frequent confrontation between father and other family members. Especially, “concealment” was the most frequent response strategy for expression of father’s strong negative emotions related to companion animals.
    Companion animals tended to rank the other family members on two criteria: degree of family hierarchy and degree of affection for oneself. As a result, the highest rank tended to be given to ‘father‘ who had the most authority in the house even though the degree of affection for oneself was lower than that of ‘mother’, In other words, ‘father‘ tended to be the first to be called, or the first to be charmed.
    Those who had the companion animal tended to perceive the person who had it much more positively than the person who did not have it.
    Moreover, differentiation was made among companion animal owners either by boasting of how lovely and well trained your pet companion is or by criticizing of how other people raise/train companion animals. Also, those who have small dogs have differentiated those who have big do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화인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