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孟子』를 척도로 본 조선후기 公田 담론의 경세학적 층차 (The Differences in the Statecraft Discourses on Gongjeon(公田)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Measured by 『Mencius(孟子)』)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1.09
52P 미리보기
『孟子』를 척도로 본 조선후기 公田 담론의 경세학적 층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사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학림 / 48권 / 291 ~ 342페이지
    · 저자명 : 윤석호

    초록

    『孟子』는 삼대의 이상적인 토지제도가 仁政이라는 이념, 分田과 制祿이라는원리, 井田制와 公田이라는 제도를 통해 운영되었음을 회고했지만, 그 구체적인 실상까지는 알지 못했다. 또한 이상으로부터 단절된 현실에 살았던 그는, 삼대로부터 무엇을 또한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지를 명확히 알려주지 않았다. 공전에 대한 경학적·경세학적 과제를 후대 유자들에게 남겨놓은 것이다.
    조선후기는 전근대의 한국사에 있어 삼대적 이상으로부터 가장 멀리 떠나온 시기였지만 ‘공전’을 소환한 다양한 경세 담론이 제기된 시기이기도 했다. 먼저 李縡는 ‘因時’라는 프리즘으로 공전의 이상성을 재해석했다. 공전의 이념은 현실에까지 왜곡되지 않는 보편성을 지니지만, 그것의 구현은 당시의 제도를 통해 가능하다는 것이다. 삼대와의 질적 차이 속에서 유학의 이상을 선택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그래서 공전의 원형을 저변으로 하되 ‘제록’ 중심의 제도들을 통해 인정의 이념을 달성하려던 현실화된 공전담론인 것이다.
    柳馨遠은 공전 원리에 고금을 관통하는 보편성을 부여했다. 특히 삼대의 기내봉건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는데, 이는 현실의 군현제 하에서 정전제가 실행될 수 있게 하는 경학적 근거가 되었다. 그리고 공전 원리에 입각한 국가체제를 『반계수록』에 정밀하게 설계했다. 맹자가 남겨 놓은 두 가지 과제를 ‘分田’과 ‘制祿’의 통합으로 풀어냈던, 또한 그로 인해 국가체제의 규모에서 개혁안을 논정했던 조선시대 최초의 경세 담론이었던 것이다.
    丁若鏞은 공전 설치의 시공을 삼대 전역으로 확대했고, 9職의 전업과 이원적 수취체제를 상정했으며, 이상세율로서의 1/10을 기각했다. 나아가 다산은 ‘공전체제’를 모델로 한 점진적이고도 전면적인 개혁을 『경세유표』에서 기획했다. 이념과 원리, 그리고 제도의 총체로서의 공전이 국가 체제의 중핵이 되는, 즉 보편적 통치체제로서의 ‘공전체제’를 창안한 것이다.
    이처럼 『맹자』가 전한 원형으로서의 공전은 현실에서의 다양한 공전들로 재해석되었다. 그 경학적·경세학적 변주에는 많은 유자들이 동참하고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公田’의 실질은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분화되었다. 비록 ‘공전들’의 지향은 달랐을지라도, 그들이 공히 公田[井田]을 경세의 장에서 운위했음은 공전으로 표상되는 ‘공공성’을 시대적 과제로 인식했음을 뜻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는 유학의 이상적 전장이 명확한 하나의 제도적 실체가 아님을, 그래서 현실의 다양한 요구와 지향에 상응할 여지가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分田’의 실현을 타진했던 유자들이 치자의 세습적 특권에 대해 공통적으로 문제를 제기했음은 주목되는 지점이다.

    영어초록

    『Mencius』 recalled the ideal land system of Confucianism, in which Gonjeon(公田) was a core institution. However, he did not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Moreover, living in a reality that differed from the ideal, Mencius did not clearly explain what shape this ideal should take and how to realize it. As a result, the task of elaborating on 『Mencius』’s explanation of Gongjeon in the lights of Confucian Classics and statecraft was left to later Confucian scholars. The late Joseon Dynasty was the farthest period from the ideal in the Korean history of the premodern era, but it was also the time when various statecraft discourses were produced that evoked Gongjeon.
    First, Lee Jae(李縡) reinterpreted the ideal of Gongjeon through a prism called Insi(因時). He believed that the ideology of Gongjeon had universality that still applied even today, but that it could only be achieved through the system that was in place then. His was a realistic revolutionary discourse to selectively realize the ideal of Gongjeon, so as to achieve Injoeng(仁政) through a Zerok(制祿)-centered system.
    Yu Hyeong won(柳馨遠) regarded the principle of Gongjeon(公田) as a universality that penetrated the past and the present. In particular, he denied the implementation of the feudal system(封建制) in Wangki(王畿), which became the logical link for seeking the feasibility of Jengjeonje(井田制) under the rational bureaucracy(郡縣制). In 『PangyeSurok(磻溪隨錄)』, he specifically designed a state system based on the principle of Gongjeon. It was the first major discourse of the Joseon Dynasty that solved the two tasks bequeathed by Mencius through the integration of Bunjoen(分田) and Zerok(制祿), and thus discussed the reform plan on the scale of the national system.
    Jung Yak yong(丁若鏞) invented the System of State on Gongjeon(公田體制), in which Gongjeon(公田) was a key law. He argued that only farmers should gain land, and that land gainers should co-cultivate the Gongjeon(公田) for paying tax on land. He also insisted that people who did not receive farmland should become experts in other occupations. His vision was of a country where professionalization was achieved in all industries, including agriculture. Furthermore, in 『GyeongseYupyo(經世遺表)』 he planned a gradual and sweeping reform modeled on the System of State on Gongjeon.
    Thus, the idea of Gongjeon conveyed by 『Mencius』 was reinterpreted as various gonjeons. Many Confucian scholars fed the variations, and in the process, the substance of Gongjeon was split into various strands. This shows that the ideal Confucian system is not institutionally clear, so there is room for adapting it to the various demands and goals of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