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극, 무대로 나온 역사: 역사극의 기원, 개념, 범주 (The Historical Play As History on the Stage -The Origin, Concept, and Category of Historical Pla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0.06
29P 미리보기
역사극, 무대로 나온 역사: 역사극의 기원, 개념, 범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드라마학회
    · 수록지 정보 : 드라마 연구 / 32호 / 7 ~ 35페이지
    · 저자명 : 김기봉

    초록

    역사극에 대한 종래의 연구는 주로 연극의 관점에서 이뤄졌다면, 본 논문은 역사극의 기원, 개념, 범주를 역사학의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기존의 연극 중심의 논의를 보완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니체 말대로 비역사적인 것만이 정의할 수 있고 역사적인 것은 해석될 수 있을 뿐이라면, 역사극이란 무엇인가는 역사극의 역사를 해석하는 것으로 해명되어야 한다. 역사극의 역사는 역사라는 주어와 연극이라는 술어의 관계맺음 방식의 변화에 따라 셋으로 시대구분 될 수 있다.
    첫째, 전통시대 역사극은 연극이 역사를 술어적으로 규정하여 인간 삶의 보편적 진실을 배우들의 연기로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시대 역사극은 역사의 연극화를 통해 개체적 사실을 보편적 진실로 승화시키는 것을 추구했다.
    둘째, 근대 역사극은 역사라는 주어와 연극이라는 술어가 이전 시대와 완전히 다른 전도된 형태로 관계를 맺는 것으로 탄생했다. 이 시대 역사극은 역사라는 거대담론이 연극의 무대를 지배했다.
    셋째, 역사의 내용이 연극의 형식을 규정했던 시대가 근대라면, 연극이 역사를 가지고 노는(play) 전통시대로 복귀하는 것이 탈근대 역사극이다.
    역사적 상상력으로 과거의 인물들을 무대로 불러내어 연극을 벌이는 것이 역사극이다. 인간은 ‘현실의 역사’가 빠져 있는 질곡을 벗어날 목적으로 역사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꿈의 역사’를 이야기한다. ‘꿈의 역사’란 반(反)역사가 아니라 현실의 역사를 초월하여 미래 새역사를 창조할 수 있는 역사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발전소다. 이 같은 ‘꿈의 역사’를 무대에서 상연하는 연극이 역사극이다. 요컨대 탈근대에서 역사극이란 ‘역사효과’를 낼 목적으로 무대에서 상연되는 모든 연극이라고 말할 수 있다.

    영어초록

    It is true that the concept of the ‘historical play’ has been mostly researched through the viewpoint of play. But I, in this article, want to propose a little different approach to the conventional discussion, while supplementing the previous views and focusing on the play which might be newly constituted of the origin, concept and category of the historical play from the historical science.
    Nietzsche once said that the un-historical entity could be defined and that the historical entity only be interpreted as well. The meaning of historical play then should be explained by interpreting for the history of historical play. I would like to classify the periods of the history of historical play as three different ways, drawing the classification to my coined words of ‘history as a subject’ and ‘play as a predicate.’First, most historical plays of the traditional era were to show a sort of universal truth mainly through the performance of actors, that could be defined as the history as a predicate. The historical plays at this time were played to sublimate a particular fact into the universal truth through the modification of history as the play.
    Second, modern historical plays were born to change the conventional relationships of the ‘history as a subject’ and the ‘play as a predicate.’ Such historical plays dominated all of the stages of play with the meta-narrative of history.
    Third, in the modern time the contents of history began to determine the form of play. But the post-modern historical plays that I concerned here are in a sense to go back to the traditional time in which "theater plays with history."Historical play must be defined as calling the characters of the past out on the stage with one's historical imagination. We tell ‘the dreaming history' through the historical imagination, while breaking away from the yoke of 'the real history.' ‘The dreaming history' is not an anti-history, but is formed as a generator producing a called historical energy by which we create a new history of the future beyond 'the real history.'The historical play has its meaning when performed as the form of 'dreaming history' on the stage. To say, the postmodern historical play is all the plays performed on the stage for 'the historical eff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드라마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