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록과 유물로 본 정암사의 창건과 전승 (The foundation and tradition of Jeongamsa through its records and relic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5.06
35P 미리보기
기록과 유물로 본 정암사의 창건과 전승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18호 / 123 ~ 157페이지
    · 저자명 : 정병삼

    초록

    정암사는 오대산에서 문수를 친견하지 못한 자장이 태백산의 갈반지를 찾아 창건한 사찰이라고 전승되어 왔다. 이에 대한 확실한 자취는 이제까지 찾지 못했지만, 2013~2014년에 시행된 정암사 발굴조사에서 신라말 제작으로 추정되는 기와가 출토됨으로써 일단 정암사의 신라말 창건 사실은 확실한 근거를 갖게 되었다. 곧 신라말에 태백산 정암사가 상당한 규모로 건립되어 있었음을 확정할 수 있다. 또한 고려 초기의 정암사 발굴 유물이 계율과의 관련을 강조하는 것은 자장을 계승한 것임을 표방하는 것으로, 이는 자장의 창건 가능성을 더욱 크게 한다. 대부분의 사적이 자장을 오대산과 정암사에 나란히 제시하고 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자장이 오대산과 태백산 정암사에 행적을 남겼을 가능성을 제기할 수 있다.
    자장 관련 자료들은 자장의 오대산 사적에 대해 띠집과 같은 임시적 거처는 인정하지만 사찰의 창건은 인정하지 않는다. 이에 비해 자장의 태백산 주석은 모두 사실로 기록하고 있다. 이는 오대산 신앙이 복합적인 양상을 보이면서 다양한 전승 속에 자장의 창건에 대해 다른 견해가 생겨났지만, 정암사는 전승이 단순하여 자장으로 모아진 차이로 생각된다.
    정암사의 9세기 기와 건물과 자장이 창건했다는 石南院과의 연관은 찾을 수 없다. 신라말에 명주 일대 불교계에 범일과 그 일문의 영향력이 강하게 미쳤고, 그 현상의 하나로 수다사 대중을 매개로 자장의 행적이 오대산과 정암사 사적에 연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 이전에 정암사 발굴 유물은 자장의 행적이 정암사에 미쳤을 가능성을 크게 하며, 나아가 자장이 오대산에도 행적을 남겼을 가능성도 열어준다. 자장이 오대산을 순례했다는 전승은 중국 오대산 순례 설화로 확대되었고, 이와 같은 전승은 점차 보편화되어 10세기에 중국에도 전해져 돈황문서에 그 자취를 남기게 되었다.
    정암사 발굴 결과는 고려 전기의 유물에 집중된다. 또한 수마노탑에 대한 검토 결과는 수마노탑이 신라 양식의 유풍을 이어받아 고려 초기에 건립되었고, 정암사는 계율을 강조한 사찰로서 번영하였던 사찰로 자리매김될 수 있다.
    조선 후기의 상세한 사찰 묘사도에서 보는 정암사는 진신사리를 봉안한 수마노탑의 신앙적 위상이 크게 알려진 사리신앙의 성지였다. 수마노탑은 거듭 중수 유지되었고, 특히 고종 집권 시기에는 안동김문과 흥선대원군의 주선으로 전국적인 규모의 시주로 중수되기도 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자장이 창건 봉안했다는 불탑신앙이 있었다.

    영어초록

    Jeongamsa handed down that it was founded by monk Jajang who tried to meet Manjusri but not resulted. To this time, we cannot find the clear evidence of Jajang’s trace. The excavation at Jeongamsa in 2013~2014, we get some roof tiles which were made in 9th century, late Silla. So we have clear evidence that this temple was founded late Silla. In late Silla, they told that Jeongamsa was certainly founded by Jajang. The relics of Jeongamsa were concentrated vinaya school of Goryeo. It shows that Jeongamsa was deeply related to Jajang in early Goryeo. This shows that Jajang might go to Odaesan and Jeongamsa. This tradition was generalized at 10th century and transmitted to Dunhuang documents.
    Many records wrote about Jajang and Odaesan. But most of them did not say that Jajang found temple at Odaesan besides they said that there was a temporary locate. They said that Jajang founded Jeongamsa (Seoknamwon) altogether. The difference of them were Odaesan faith devided several trends but Jeongamsa kept one tradition. In late Silla, Beomil and his family’s power spreaded strongly to Gangwon Buddhism. With this trend, Jeongamsa record of Jajang was connected to that of Odaesan through Sudasa monk.
    Most results of excavation of Jeongamsa were the relics of early Goryeo period. The discuss on Jeongamsa Sumano stupa shows that it was builted in early Goryeo succeed to Silla style. And Jeongam-sa prospered in early Goryeo which stressing vinaya school. Sumano stupa maintained Silla style in its configuration of the ground, structure and upper parts. The history of Jeongamsa has evident position.
    A detailed picture of Jeongamsa in late Joseon noticed that this temple was well known for sarira faith based on Sumano stupa. With this sarira the stupa was restored continually. In Gojong period, Heungseondaewongun and Andong Kims family led the reconstruction of the stupa with the whole country. So Jeongamsa was the holy place of sarira faith. At the heart of that faith, there was the Buddha stupa which constructed by Jaj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