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출토유물로 본 행전 연구 (A study on the Haengjeon of relics excavated from the Joseon Dynasty)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3.12
17P 미리보기
조선시대 출토유물로 본 행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복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복문화 / 26권 / 4호 / 69 ~ 85페이지
    · 저자명 : 금종숙

    초록

    행전은 바지 위에 무릎 아래부터 정강이까지 두르고 윗부분의 끈으로 고정하는 것으로 활동과 보행을 편리하게 하는 역할이 있다. 지금까지 행전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아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행전에 관해 문헌과 회화자료를 바탕으로 행전의 명칭 및 착용한 예를 조사하고, 출토유물 등을 조사분석하여 시대별 형태 변화와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것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전의 명칭은 19세기까지 고문헌과 개인문집 등에서 한자로는 ‘勒帛’, 行縢’, ‘行纏’, 한글로는 ‘등’, ‘뎐’, ‘늑’ 등 다양하게 보인다. 둘째, 행전의 착용례를 신분별로 황제(皇帝) ․ 황태자(皇太子) ․ 황자(皇子), 왕(王) ․ 왕세자(王世子) ․ 왕자(王子), 사대부(士大夫) ․ 별감, 내시 ․ 왕실행사 참여인원, 백성 ․ 여성 등에서 확인할 수 있어 신분의 귀천 없이 모두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행전의 형태는 제비행전과 통행전으로 나눌 수 있다. 출토된 행전은 22건 26점으로 16세기에는 9건 12점(제비행전 11, 통행전1), 16세기말~17세기 초에는 5건 6점(제비행전 6), 18세기 5건 5점(제비행전 1, 통행전 4), 19세기 3건 3점(통행전 3) 등이다. 넷째, 남자 묘에서는 16건 20점으로 16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까지는 제비부리형이며, 18세기 중반부터는 원통형인 통행전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여성 묘에서는 6건 6점으로 16~17세기 초까지 출토되었으며 형태는 제비부리형만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Haengjeon was used for convenience when performing activities and walking. They were worn as pants from below the knees to the shin and were fixed with a string at the top. There is little research on haengjeon, so in-depth research is needed. Based on literary and painting dat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ame and examples of haengjeon worn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also examined and analyzed excavated relics to examine changes in shape and gender by perio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ames of haengjeon were diverse, such as neukbaek (勒帛), haengdeung (行縢), and haengjeon (行纏) in Chinese characters. In old literature and personal writings of the 19th century, they were also called haengdeung, haengdyeon, and neukbaek. Second, haengjeon was worn by people of all status classes, including the emperor, prince, crown prince, nobleman, bureaucrats, eunuch, people, and women. Third, the form of haengjeon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the swallow's beak-type, which is named jebihaengjeon, and the cylindrical type, which is named tonghaengjeon. In the 16th to early 17th centuries, there were 22 cases of 26 pieces of jebihaengjeon, including nine cases of 12 pieces. In the late 16th and early 17th centuries, there were five cases of six pieces of jebihaengjeon. In the 18th century, there were five cases of six pieces, including one jebihaengjeon and four tonghaengjeon. In the 19th century, there were three cases of three pieces of tonghaengjeon. Fourth, there were 16 cases and 20 pieces of haengjeon from male tombs.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and from the mid-18th century, the swallow's beak-type of jebihaengjeon was worn. From the mid-18th century, the cylindrical type of tonghaengjeon was worn. Six pieces of haengjeon were excavated from female tombs from the 16th to early 17th centuries. All of them were the swallow's beak-type of jebihaengj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복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