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기의식화로 보는 치유 체험 과정 (The Process of Healing Experience through Self-Consciousnes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8.02
8P 미리보기
자기의식화로 보는 치유 체험 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8권 / 2호 / 607 ~ 614페이지
    · 저자명 : 채연숙, 박미정

    초록

    통합문학 치료학에서 치유 및 치료체험을 하였는가 또는 하지 못하였는가에 대한 주요 기준은 참여자 스스로 이 모든 과정을 제대로 알게 되었는가 verstehen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필자들은 이러한 과정을 정신현상학에서 말하는 인간 의식의 전개과정과 동일한 것으로 보고, 문학치료에서 참여자 의식의 전개과정인 자기의식화를 통한 치유과정이 어떻게 일어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자기의식화는 참여자가 치유 및 치료체험을 판단하는데 있어 주요 변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문학치료는 참여자 스스로가 자기의식화의 과정을 거쳐 치유경험을 할 수 있도록 인간의 주체적인 실체화를 돕는 기능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화, <책읽어주는 남자>에서 여성 인물, 한나를 통해 그녀의 삶 전반에서 어떻게 자기의식화가 일어나며, 또한 그러한 과정을 통해 치유적 체험이 어떻게 구현되어가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영화 속 인물, 한나는 자신이 문맹상태에서는 일체의 양심이나 책임, 그리고 죄의식을 느낄 수 없었고, 문자를 읽고 쓰게 됨으로써 비로소 ‘인간의 존엄’인 참양심 Deep Consience을 얻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각, 상호관계 그리고 자기회귀 및 참자아 발견의 관점으로 본 한나의 이러한 과정이 한편으로는 치유체험이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기의식화의 한 측면으로 보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Self-Consciousness as a Healing Experience Process.
    The primary base in the integrative poetry & bibliotherapy on whether or not having experienced healing and remedy is to understand(verstehen) whether a participant oneself came to properly know all these processe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healing process happens through a self-consciousness pattern, which 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participant's consciousness in literary therapy, while writers regard this process as same as the development process in human consciousness of being mentioned in the phenomenology of spirit. A human being comes to be developed consciousness through diverse self experiences of being faced in the middle of life. Especially, the consciousness, which was developed through reflection and introspection, is considered to lead to the true self-consciousness pattern, and to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quality of life through proceeding with realizing self. This self-consciousness pattern, above all, may be a major variable in which a participant judges the experience of healing and remedy. Also, the literary therapy functions as helping a human being's subjective substantialization so that a participant oneself can experience healing after passing through the process of the self-consciousness pattern. Hence,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how the self-consciousness pattern takes place in her whole life through Hanna who is a female character in a movie titled <The Reader>, and also how the healing experience is embodied through such process. That is because Hanna, who is a character in a movie, could not feel all the conscience or responsibility, and guilt in her illiterate state, and came to read and write letters, thereby coming to finally get Deep Conscience, which is 'human dignity.' Consequently, this study aimed to see Hanna's this process from the perspectives of sense, interrelation, auto-regression, and deep-conscience detection as the healing experience on the one hand and as an aspect of the self-consciousness pattern on the other hand. In this way, the process of the self-consciousness pattern may occur through various routes. However, what there is not this process is considered to lead to being incapable not only of being experienced either healing or remedy, but also of being happened a growth as an individu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