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학교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서울시교육청 우수사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Process-Oriented Assessment: Focusing on the Best Practice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3.07
21P 미리보기
중학교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서울시교육청 우수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3권 / 14호 / 935 ~ 955페이지
    · 저자명 : 조용, 김소영, 박상현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업무 담당 교사와 교과 담당 교사의 심층 면담을 통하여 중학교에 과정중심 평가가 도입되어 운영하면서 나타나는성공 요인과 문제점을 찾고, 과정중심 평가가 중학교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내실화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시교육청의 정책연구학교인 학생평가 선도학교 중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 연속 지정된 학교 9개교를우수사례로 선정하여 운영 사례보고서를 분석하였고, 2022년 10월 7일부터 20일까지 학생평가 선도학교 9개교 중 4개교를 선정하여 학교별 학생평가 담당교사와 학교당 2개 교과의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서울시교육청 학생평가 선도학교의 심층 면담을 통해 (1) 과정중심 평가 인식, (2) 학교의 과정중심 평가의 운영 수준 및 체계현황, (3) 교과의 과정중심 평가의 운영 현황, (4) 학생평가 선도학교로 과정중심 평가 추진 성과의 한계 (5) 포스트 코로나 시대 내실화 방안 등 다섯 측면에서 이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였다. 또한, 과정중심 평가 운영 보고서를 통해 선도과목별 운영 학년⋅형태⋅학기, 실시 연도, 학기별⋅교과별 평가 영역, 운영 교과별 과정중심 평가의 장⋅단점, 수행평가 100% 운영시(혼합형 포함) 어려움, 과정중심 평가 활성화를 위해 요구되는 점, 해당 교과의 성격과 특성에 적합한 과정중심 평가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도출하였다.
    결론 첫째, 과정중심 평가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명시된 바와 같이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청의 명확한 지침을 바탕으로 학교의 전체적 분위기를 조성한다면, 교사들이 과정중심 평가 관련 연수와 교사모임(교원학습공동체, 교과협의회 등)을 통해 평가 전문성을 제고해야 한다. 셋째, 과정중심 평가의 비율을 높이고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학생과 학부모를 설득하기 위한 홍보가 적극 필요하다. 넷째, 교사의 업무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ways to substantiate process-oriented assessment so that it can be widely used in middle school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in charge of work and subjects while introducing and operating process-oriented assessment in middle schools.
    Methods To this end, among the student evaluation leading schools, which are policy research school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nine schools designated as excellent cases for three consecutive years from 2019 to 2021 were selected and operational case reports were analyzed. Four out of nine leading schools for student evaluation were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in charge of student evaluation at each school and teachers in charge of two subjects per school.
    Resul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leading schools in student evaluation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1) recognition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2) current status of operation level and system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3) current status of operation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4) student Opinions on this were identified in five aspects, including the limitations of performance in promoting process-oriented evaluation as a leading school in evaluation (5) internalization plan in the post-COVID-19 era.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 operation report, the operating grade/form/semester for each leading subject, the year of implementation, the evaluation area for each semester/subjec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 for each subject operated, difficulties in operating 100% performance evaluation (including mixed type) In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drawn by diversifying the points required to vitalize process-oriented evaluation and process-oriented evaluation suitable for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Conclusions Firstly, as specifi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process-oriented assessment should be continuously expanded to cultivate students' core competencies. Secondly, if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school is created based on the clear guidelines of the Office of Education, teachers should enhance their evaluation expertise through process-oriented assessment-related training and teacher meetings (teacher learning community, subject council, etc.). Thirdly, in order to increase the rate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and continuously operate it, publicity to persuade students and parents is actively needed. Fourthly, institutional measures to reduce the workload of teachers should be prepa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