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직무발명보상금의 산정과 재판례 분석 -2011~2020년간 제1, 2심 판례 분석 (Assessment of Compensation for Employee’s Invention and Analysis of Court Precedents - Judicial Precedent Analysis of First and Second Instances from 2011 to 2020)

6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1.06
60P 미리보기
직무발명보상금의 산정과 재판례 분석 -2011~2020년간 제1, 2심 판례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56호 / 661 ~ 720페이지
    · 저자명 : 이지영

    초록

    종업원의 직무발명을 승계한 사용자는 종업원에게 특허법, 발명진흥법의 규정에 따라 직무발명을 이용하여 얻은 이익 중 일부를 지급할 의무를 부담한다. 2000년대 이후 직무발명보상금 청구소송이 지식재산 관련 소송의 한 형태로 자리 잡았지만 특허 등의 등록무효소송, 지식재산권 침해를 원인으로 하는 손해배상청구 소송에 비해 그 비중이 크지 않고, 법원의 직무발명보상금 산정 실무에 대해 여러 가지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중 대표적인 비판은, 법원의 보상금 산정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보상금 산정에 지나치게 구체적이고 사후적으로 개입함으로써 기업운영의 안정성을 저해하며, 종업원 친화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고, 가상의 실시료율, 독점권 기여율, 직무발명의 기여도, 발명자의 공헌도를 산정함에 있어 고려하는 요소들이 동일하거나 유사하여 중복 적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직무발명보상금의 구체적 산정 기준 중 가상의 실시료율, 독점권 기여율, 직무발명의 기여도, 발명자의 공헌도를 중심으로 학계와 업계의 주요 비판을 살펴보고, 지난 10년간 선고된 직무발명보상에 관한 제1, 2심 재판례를 분석하여 위 비판들이 타당한지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직무발명보상금 관련 소송을 담당하는 제1, 2심 법원에서는 학설과 판례 등을 통해 어느 정도 확립된 계산식을 적용하되, 사건별로 현출된 증거에 따른 구체적 사정 등을 감안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법원의 보상금 산정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종업원 친화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법원이 보상금 산정에 지나치게 구체적이고 사후적으로 개입함으로써 기업운영의 안정성을 저해한다.’는 취지의 비판은 다소 과도하거나 법원 실무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추측해 본다. 다만 해당 직무발명이 완성품의 매출액이나 직무발명의 양도액에 미친 영향을 기준으로 보상금을 산정해야 하는 점에서 직무발명의 기여도는 독립 산정 항목(편의상 가상의 실시료율, 독점권 기여율, 발명자의 공헌도, 직무발명의 기여도를 ‘독립 산정 항목’으로 부른다)으로 반영해야 하므로, 직무발명의 기여도를 반영하는지 여부가 명확하지 않고 반영 방식에 일관성이 없다는 지적은 정당하고, 직무발명보상 관련 소송실무에 즉시 반영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가상의 실시료율, 독점권 기여율, 직무발명의 기여도, 발명자의 공헌도를 산정함에 있어 고려하는 요소들이 중복된다.’는 비판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어 지난 10년간 선고된 제1, 2심 판결에 나타난 고려 요소들을 종합하여 각 항목별로 분류하고, 가상의 실시료율, 독점권 기여율, 직무발명의 기여도, 발명자의 공헌도 산정을 함에 있어서 중점적으로 고려할 요소들을 분류하였다. 향후 직무발명보상금 관련한 재판실무에서 위와 같이 분류된 요소들을 중심으로 심리를 진행함으로써 구체적 타당성이 반영된 보다 설득력 있는 판결을 도출하는 등 직무발명보상금 관련 소송심리의 개선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를 희망한다.

    영어초록

    The employer who succeeds to an employee’s invention is obligated to pay some of the profits obtained from the employee’s invention to the employe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Patent Act and the Invention Promotion Act. Since the 2000s, lawsuits for claiming compensation for employee’s invention have been established as a form of lawsuit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but their number is not large compared to the number of lawsuits for claims for damages caused by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revocation of IP rights, etc. Various criticisms have been raised against the assessment methods having been used by the courts to calculate employee invention compensation. Some of them are as follows: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the compensation amount of the court are not clear, and the factors considered when calculating “the hypothetical royalty rate, the contribution rate of exclusivity, the invention’s contribution ratio, and the inventor’s dedication ratio” are the same or similar, and are applied overlapping. It shows that the court interferes with the stability of business operation by intervening excessively in detail on calculating the compensation for an employee’s invention.
    This article examines major criticisms from academia and industry focusing on “the hypothetical royalty rate, the contribution rate of exclusivity, the invention’s contribution ratio and the inventor’s dedication ratio” of the assessment method of employee invention compensation and analyzes the first and second instance judgements on compensation for employee’s invention for the past 10 years.
    The above criticisms were practically reviewed by analyzing them. As a result, some were considered valid to point out that factors considered in calculating “the hypothetical royalty rate, the contribution rate of exclusivity, the invention’s contribution ratio and the inventor’s dedication ratio” are same and similar. Furthermore, the factors to have been considered in the first and second instance court rulings over the past 10 years were summariz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each sections “the hypothetical royalty rate, the contribution rate of exclusivity, the invention’s contribution ratio and the inventor’s dedication ratio.”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the data necessary to improve the hearing of lawsuits related to compensation for employee’s invention will be provided by drawing more persuasive judgements that reflect concrete validity through the hearing centering on the factors classified as above in the trial affairs relevant to compensation for employee’s inventio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