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세기 중국 조선족 문학비평의 현상과 전망 -2012년 비평실천을 중심으로- (A State and Prospect of Korean-Chinese Literary Criticism in the New Century - Focusing on Literary Criticism in 2012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4.02
26P 미리보기
신세기 중국 조선족 문학비평의 현상과 전망 -2012년 비평실천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53호 / 95 ~ 120페이지
    · 저자명 : 장춘식

    초록

    신세기에 접어든지 10여년이 지나고, 개혁개방 후 30여년이 흐른 지금,조선족 문학비평 수준은 어느 정도에 이르렀는가? 2012년 조선족 문학비평 현장을 예로 들어 그 실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조선족 문예지 『도라지(道拉吉)』에서 "격월비평"이란 코너를통해 정기적으로 『도라지』에 게재된 문학작품에 대해 본격적인 현장비평을 시도한 것 외에, 다른 문예지들은 작품 혹은 작가특집에 해설을 곁들이는 방식으로 현장비평을 대신하고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조선족 문학비평은 작가론과 작품론에 특히 주목하고 있다. 그 예로 『도라지』에서길림지역 대표적인 작가에 대해 집중적인 조명을 하고 있는 것과 더불어다른 문예지들에 기성 비평가들과 석박사과정생들의 작가론, 작품론과 관련된 논문이 많이 게재되고 있는 것도 조선족 문학비평의 한 성향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난용치엔(南永前)의 이른바 "토템시(图腾诗)"에 관련된 논쟁은 이미 여러 해 이어져 왔고, 2012년에 발표된 몇 편의 논문에서 보면 소재의 적정여부, 생태문학 등 좀 더 확장된 연구의 가능성 여부가 여전히 쟁점이 되고 있다.
    이 밖에 문학이론과 문학사 연구 또한 조선족 문학비평의 중요한 한분야로서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다. 우시앙슌(吴相顺)의 1950년대 조선족문학에 대한 연재논문은 그러한 연구 성과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신세기의 조선족 문학비평은 아직 세대교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상황이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자들과 각 대학교의 석박사생을 중심으로한 신세대들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미흡하나마 응분의 사명을 다하고 있다 볼 수 있겠다.
    물론 신세기 조선족 문학비평도 우려하는 바가 없지는 않다. 과거 경험으로 비추어 볼 때 기존 비평가들이 직업 환경이 바뀌면 하나 둘 비평분야를 떠났기 때문이다. 신세대 비평가들이 사명감을 가지고 조선족문학 발전에 지식과 능력을 기여하기 바란다.

    영어초록

    It has been a decade since the new century and passed a three yearsafter the second decade of the century. At this time, this studyinvestigates the literary criticism of Korean-Chinese literature in 2012 inorder to evaluate the achievement of Korean-Chinese literary criticismduring the past three decades of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Doraji, the Korean-Chinese literary magazine, has its own series ofarticles, named Bimonthly Criticism, on literary criticism by contrastwith other journals that only give a brief commentary on literaturespublished in it. The articles in Doraji shed light on renowned writersin Jirin(吉林) area, and the other literary journals focus on theanalysis of authors and works reviewed by old-timer critics andgraduate students. These show the feature of Korean-Chinese literarycriticism.
    In Addition, the debate over so-called Totem poetry written by NanYong Qian(南永前) has been contentious for a few years. What is atissue in some articles published in 2012 is still the matter with regardto the appropriacy of writing material and the possibility of ecologicalliterature. Moreover, studies on literary theory and literary history form an important part of Korean-Chinese literary criticism. The serialarticles of Korean-Chinese literature in 1950s, written by Wu XiangShun(喬宮糠), reveal such an achievement of literary criticism.
    Regardless of the circumstance that a shift in generations is not yet accomplished, it could be said that the literary criticism of Korean-Chinese in the new century have been carrying out its due mission. It is definitely possible for both of established and prospective critics to make their best endeavors to improve Korean-Chinese literature.
    The community, however, is not without its problems. It is not exceptional that prospective researchers often leave the field of literary criticism because of their precarious lives. I hope that promising critics would have a chanc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Chinese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