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度量衡器 비유를 통한 荀子의 禮 해석 (A Study on Xunzi’s Metaphors of Measuring Instruments to Interpret Ritual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6.08
22P 미리보기
度量衡器 비유를 통한 荀子의 禮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60호 / 245 ~ 266페이지
    · 저자명 : 김여진

    초록

    순자는 전국말기 최후의 유자(儒者)로서 ‘예’의 질서에서 ‘법’의 질서로 옮겨가는 사회변혁의 시기에 살고 있었다. 이와 같은 시대적 배경 속에서 순자는 유가의 정책을 새롭게 제창하기에 이르는데, 그 내용 안에는 종전의 유가의 학설을 보완 또는 재구성하거나, 초기법가의 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등의 진보적인 입장이 들어있다.
    이 때, 순자는 기존 유가에서의 예(禮)에 관한 주장을 보다 면밀하고 완전하게 정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가지 시도를 했다. 예를 들면, 종전의 유가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예기원설(禮起源說)의 주장(「禮論」: “禮起於何也? 曰: 人生而有欲, 欲而不得, 則不能無求. 求而無度量分界, 則不能不爭; 爭則亂, 亂則窮. 先王惡其亂也, 故制禮義以分之, 以養人之欲, 給人之求, 使欲必不窮於物, 物必不屈於欲, 兩者相持而長, 是禮之所起也.”)이나, 예에 대한 형이상학적인 의미부여(「禮論」: “天地以合, 日月以明, 四時以序, 星辰以行, 江河以流, 萬物以昌, 好惡以節, 喜怒以當, 以為下則順, 以為上則明, 萬物變而不亂, 貳之則喪也. 禮豈不至矣哉!”), 그리고 예에 대한 주석(注釋)의 작업(「勸學)」: “『禮』者,法之大分,類之綱紀也.”)등이 모두 그러하다. 본고는 이러한 순자의 시도 가운데 도량형기(度量衡器) 비유를 통한 예의 해석에 관해 고찰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다음과 같은 문헌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문제에 접근한다. 우선, 『논어』와 『맹자』그리고 『순자』의 도량형기 언설의 비교를 통해 순자의 예에 대한 정의(定義)의 기술방식이 기존 공맹의 도량형기 언설과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맹자의 도량형기가 갖고 있는 한계(限界)적 이미지와 순자의 도량형기를 지니고 있는 완전(完全)한 이미지를 발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국시대 문헌에서의 예(禮) 혹은 법(法)의 언설 가운데 보이는 도량형적 해석을 발췌하여 순자와 직접적인 유사성을 띄는 표현방식을 발견함으로써 순자가 제자백가로부터 받은 영향에 대해 유추해볼 수 있다.
    이러한 고찰로부터 알 수 있는 사실은 형태표준 및 수량표준의 도량형 공구는 전국시대 제자(諸子)의 문헌 내부에서 빈번하게 사용되었던 비유대상이나, 다만 법가적인 해석의 용법은 유가 가운데 순자(내지는 『예기(禮記)』)에서만 찾아볼 수 있다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본래 법가의 ‘사유 대상’(concept)인 도량형기(度量衡器)의 이미지를 순자가 유가의 대표 브랜드인 ‘예(禮)’안에 직접적으로 이미지화했다는 점으로부터 전국말기의 그가 제창한 예의 특질을 발견할 수 있다.

    영어초록

    Xunzi was the last Confucian philosopher who lived in the end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where there was a shift from the order of rituals to the order of law. Against such historical backdrop, Xunzi advocated the Confucian policies anew. These policies were either complemented or reinvented from the then-existing Confucian theories, including a progressive stance of actively accepting the concepts proposed by legal theorists in the early days.
    Here, Xunzi tried interpreting rituals in a unique way, as part of reorganizing the concepts and theories on rituals fully and explicitly within the then-existing realm of Confucianism. The present study reflects on his interpretation by examining his comments where he used measuring instruments as metaphors which are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his method.
    Moreover, the present study takes an approach of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ollowing literature. First of all, by observing differences found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the writings of Mencius and the comments of Xunzi with the metaphors of measuring instruments, it was revealed that the definition of rituals by Xunzi was different from those of Confucius and Mencius. Next, the inference of influence Xunzi had received from other schools of thought was drawn by extracting the interpretations of measuring instruments found inside the remarks on rituals and law during the early, mid and late warring states periods, and quoting the comments on measuring instruments in the literature of non-Confucian philosophers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What can be known from such reflections is that measuring instruments by type and volume were often used as metaphor by many philosophers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however Xunzi was the only one who used measuring instruments as metaphor for legalistic interpretation. Furthermore, since the rituals mentioned by Xunzi already involve many legalistic functions, it is worth trying to carry out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itu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