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제급여 산정시 피공제자의 기왕증 참작 및 과실상계를 허용한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9조의2 제1항 내지 제3항의 효력 (Effectiveness of Article 19-2(1) or (3)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mpensation for Accidents at School Granting Consideration of Medical History and Comparative Neg)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7.03
40P 미리보기
공제급여 산정시 피공제자의 기왕증 참작 및 과실상계를 허용한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9조의2 제1항 내지 제3항의 효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39호 / 435 ~ 474페이지
    · 저자명 : 양진수

    초록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하 ‘학교안전법’이라고 한다) 시행령 제19조의2 제1항 내지 제3항(이하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이라고 한다)은 학교안전법상 공제급여액을 산정함에 있어 피공제자의 기왕증을 참작하고 과실상계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대상판결 이전의 2012년 대법원판례는, 학교안전법에 따른 공제급여 제도는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를 배상하는 제도와 그 취지나 목적을 달리하므로,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과실상계나 기왕증 참작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태도를 취하였다. 그런데 2012년 판례의 사안에서 학교안전사고의 발생 시점은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의 시행일인 2012. 4. 1. 이전이었기 때문에 위 판례에는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이 모법의 위임 없는 무효의 규정인지에 관한 판단이 없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판결 이전에 학교안전공제회(이하 ‘공제회’라고 한다) 측은 위 2012년 판례에도 불구하고 공제급여액을 산정하면서 여전히 피공제자의 기왕증을 참작하고 과실상계를 해 왔고, 이에 대한 하급심의 판단도 양분되어 있었다.
    대상판결에서는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이 모법 조항의 위임 없이 규정된 것이거나 모법 조항의 위임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서 무효인지 여부가 주된 쟁점이 되었다. 이에 관하여 이 사건 시행령 조항에 대하여 모법인 학교안전법에 위임의 근거조항이 있으므로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은 유효라는 반대의견의 지적이 있었으나, 다수의견은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이 모법 조항의 위임 범위를 벗어난 무효의 규정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는 학교안전법상 공제급여 제도는 민사상의 손해배상 제도와는 그 본질이 다르고, 학교안전사고로 인하여 피공제자가 입은 피해를 학교 교육과정의 안전에 대한 배려 차원에서 공제회로 하여금 직접 전보하게 하는 일종의 법정채권관계에 의한 급부임을 주된 근거로 한다.
    한편 학교안전법상 공제급여의 지급을 둘러싼 법률관계에는 공법적 성격과 사법적 성격이 혼재되어 있다. 그중 공법적 요소에 주목하여 학교안전법상 공제급여 지급을 구하는 소송의 법적 성질이 공법상 당사자소송이라고 하는 별개의견의 지적이 있었으나, 다수의견은 기존의 실무에 따라 민사소송으로 처리한 원심을 확정하였다.

    영어초록

    Article 19-2(1) or (3)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mpensation for Accidents at School (hereinafter “the pertinent provisions of the Enforcement Decree”) grants consideration of a mutual aid beneficiary’s medical history and comparative negligence when calculating the amount of mutual aid benefit pursuant to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mpensation for Accidents at School (hereinafter “School Safety Act”).
    The Supreme Court previously held that consideration of medical history or comparative negligence was impermissible unless otherwise specified by law on the ground that the underlying purpose differed between the mutual aid benefit system under the School Safety Act and the tort damages system under the civil law (see Supreme Court Decision 2011Da111961, Dec. 13, 2012). Provided, however, in the 2012 Supreme Court Decision, supra, it did not appear as if the Court rendered judgment on whether the pertinent provisions of the Enforcement Decree were in fact invalid without delegation by the primary law applicable, due to the school safety-related accident having occurred prior to April 1, 2012 when the relevant provisions came into effect. Accordingly, notwithstanding the aforementioned judicial precedent, the School Safety Mutual Aid Association (hereinafter “SSMA”) had been granting consideration of a beneficiary’s medical history and comparative negligence when calculating the amount of mutual aid benefit, and up until the subject case, the lower court judges were divided on the matter.
    In the subject case, the key issue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pertinent provisions of the Enforcement Decree were either prescribed without delegation by the applicable law or exceeded the scope of the delegated applicable provisions and therefore deemed invalid. The dissenting justices stated that the said provisions were valid inasmuch as the School Safety Act, being the primary applicable law, provides that “[t]he purpose of the Enforcement Decree shall be to prescribe matters as delegated by the Act” (see Article 1 of the School Safety Act). However, as set forth in the Majority Opinion, the pertinent provisions of the Enforcement Decree were regarded as going beyond the scope of the delegated applicable provisions and thus deemed as invalid provisions based on the following reasoning: (i) the mutual aid benefit system and the damages system are inherently different; and (ii) direct compensation under the system by the SSMA for any injury, etc. suffered by a mutual aid beneficiary involving a school safety-related accident constitutes a type of performance of legal obligation, thereby supporting schools in maintaining a safe environment that is conducive to learning.
    Meanwhile, in his concurrence, Justice Kwon Soon-il expressed that the legal nature of payment of mutual aid benefits under the School Safety Act contained a mixture of public and private law elements, and that the lawsuit seeking such payment by focusing on the elements of public law constituted a party litigation under the public law. Nonetheless, as stated in the Majority Opinion, the Supreme Court affirmed the judgment of the lower court that followed the existing practice of law and accordingly tried the instant case as a civil su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