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90년대 조선의 사회·정치적 상황에 대한 내한(來韓) 선교사들의 이해 동학 농민 운동과 단발령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Inner-Korean Missionaries Concerning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Chosun in the 1890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09.02
32P 미리보기
1890년대 조선의 사회·정치적 상황에 대한 내한(來韓) 선교사들의 이해 동학 농민 운동과 단발령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선교와신학 / 23호 / 181 ~ 212페이지
    · 저자명 : 임희국

    초록

    19세기 말 조선은 봉건 사회 질서가 와해되기 시작하면서 대변혁의 소용돌이 속에 있었다. 봉건 시대의 낡은 제도와 관습을 폐지하려는 사회·정치적 혁명으로 동학 농민 운동이 일어났다. 그러나 정부의 파병 요청으로 들어온 외국(일본) 군대와 정부의 관군이 동학군을 무력으로 격파함으로써 ‘아래로부터의 자생적 변혁 운동’이 좌초되었다. 이제부터는 외세(일본)와 결탁한 친일 내각이 정치 제도로부터 생활 관습까지 개혁하기 시작했다. ‘관(官) 주도로 추진된 위로부터의 개혁’이었다. 이것이 이른바 갑오개혁의 성격이었다. 이 개혁의 과정에서 을미사변, 을미개혁, 을미의병, 아관파천이 일어났다. 수구 세력과 개화파 세력이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가운데서, 을미의병은 척사유생들이 주도하여 개혁을 거부하고 옛 사회 질서를 유지하려는 무력 행동이었다.
    이러한 일련의 사회 변혁 과정을 몸소 겪으면서 외국 선교사들이 선교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선교사들은 각자의 선교 현장에서 복음을 전하였다. 선교 현장은 매우 다양했다. 서울의 궁궐에 자주 드나들면서 의료 선교 사역을 한 선교사들이 있는가 하면, 황해도 소래 마을에서 주민들과 더불어 살면서 서양의 의식주를 끊어 버린 채 복음을 몸으로 증언한 선교사가 있었다.
    사회 변혁의 과정에서 몰아치는 역사의 소용돌이에서, 여기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아니하는 하나님의 역사가 일어났다. 그것은 선교사 매켄지의 선교 사역에서 살펴볼 수 있다. 그는 소래 마을에서 7개월 동안 동학군과 이웃하며 살았다. 처음에는 그가 동학군에게 생명의 위협을 받으며 몇 차례 아슬아슬한 위기를 넘겼는데, 차츰차츰 만남의 횟수가 쌓이면서 서로 친해졌다. 동학군에게 열린 마음으로 쉼없이 따뜻한 손을 내민 매켄지는 그들의 친구가 되고자 했다. 동학군 역시 차츰차츰 매켄지의 친구로 바뀌었다. 그러면서 기독교 신앙과 동학의 신념 체계가 소통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동학군 가운데서 하나씩 둘씩 기독교 신앙인이 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소래 마을에 최초의 예배당이 건축되었고, 건축을 위하여 동학의 지도자들이 헌금하였다. 마지막에는 선교사 매켄지는 동학의 접주와 관군의 지휘자가 만나게 하는 중재의 역할도 하였다. 복음의 능력으로 화해의 역사가 일어났던 것이다.
    을미개혁의 단발령을 거부하는 백성을 지켜보던 선교사 대다수는 상투를 조선의 전통 문화로 인정하였다. 그러면서 그들은 단발령을 선뜻 받아들이는 조선 기독교인에게 오히려 신중하라고 충고했다. 이를 바탕으로 판단하면, 선교사들은 조선의 전통 문화를 존중하는 가운데서 복음을 전파했다고 본다.

    영어초록

    As the feudalistic social order started to collaps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as swept up in a new current. Donghak Movement arose as a sociopolitical revolution to abolish the out-dated institution of the feudal age. But the government troops and the foreign (Japanese) army that was called at the government? request for aid defeated the populist movement with military force to quash the ?rganic, grassroots reform.?From then on, the pro-Japanese administration which conspired with the foreign (Japanese) power began to reform the government structure as well as social customs. It was a ?op-down reform?initiated by the government. This was the characteristic of the Gabo Reform. It was during the course of this reform that Eulmi Incident, Eulmi Reform, Eulmi Troops, Agwan Pacheon arose. In the midst of alternating victory and defeat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reform forces, the Eulmi Troops were armed forces initiated by the expelled Confucian scholars in opposition to reform in order to preserve the old social order.

    It was as the foreign missionaries personally witnessed such sequence of social reform that they started the bulk of their mission work. The missionaries proclaimed the gospel in their own sphere. The mission field was very diverse. There were missionaries who frequented the palace at the capitol to do medical mission, while there was another who cut off all things western - clothing, food, and shelter - to witness the gospel through his life as he lived among the people in Sorae Village at Hwanghae Province.

    In the swirling currents of social reform, God, the author of history made history. This is seen through the mission work of William John Mckenzie. He lived in the town of Sorae for seven months as neighbors of Donghak troops. At first his life was threatened by the troops and barely escaped with his life several times. But through gradually increasing encounters, they became more familiar with each other. McKenzie ceaselessly extended an open hand and heart to become their friend. The Donghak troops also gradually befriended McKenzie. Their relationship advanced to the level of dialogue comparing Christianity and Donhak belief systems. One by one believers arose among the Donghak, and the first church building was constructed in the town of Sorae with the offering of the leaders of Donghak In the end, McKenzie even orchestrated a meeting to mediate between a centurion of Donghak and the commander of the government troops. Reconciliation was made possible by the power of the gospel.

    Majority of the missionaries who watched how the citizens opposed the Eulmi Reform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acknowledged that topknots are a part of Chosun? traditional custom. They even advised the Christians who easily accepted the ordinance to be more cautious in their decision. Judging from this context, the missionaries can be said to have respected the traditional customs of Chosun as they spread the gosp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와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5 오전